KCI등재
한반도의 일본인 유골 수습·발굴·송환에 관한 한일 정부 간 협력 : 1970년 덕적군도 등 서해안 일대 일본인 유골 발굴·송환 사례를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주제어
KDC
913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3-182(40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1970年7月、戦後初めて日本政府は韓国政府との外交協議を通して遺骨調査団を韓国へ派遣、徳積群島を含む西海岸一帯での日本人遺骨収拾を行った。遺骨は、1944年6月、南中国方面へ向かう日本兵約3,400名を乗せた日錦丸(5,705トン)が魚雷攻撃を受け沈没し、その遺体が朝鮮半島の西海岸に漂着したものを当時島々の住民が収拾し埋葬したものであった。 戦後、日本政府はGHQ/SCAPの指示によりアジア太平洋戦争期における朝鮮人強制動員被害者の遺骨の一部を韓国側に渡した。以降、韓日両政府間の協議により朝鮮人遺骨が返還し始まったのは、1970年代からである。 その背景には、1960年代から韓国政府が日本人遺骨を調査し収拾していた経緯があった。1964年、韓国政府はソウル市内の日本人遺骨を調査した。1966年、保健社会部は全国の日本人墓地を調査し、外務部がその結果を日本側に渡した。また、韓国の旧西本願寺が保管していた遺骨約2,700体を日本側に渡した。また、韓国政府はソウル市の日本人遺骨を収集し、ソウル近郊の共同墓地の中に日本人遺骨専用の納骨堂を建立しそこに遺骨を収まって慰霊した。 当時、日韓両国は韓国人遺骨の返還について協議を行っていたが、1969年の第三次韓日閣僚会議でついに韓国人遺骨の返還に関する合意はされたものの、その実現は以降数年を待た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 そのきっかけは、1970年の西海岸での日本人遺骨収拾であった。韓国政府は、戦後初めて日本政府による朝鮮半島での日本人遺骨発掘を許可したのである。1970年7月、厚生省や外務省の発掘団は韓国へ入国、西海岸の島々に漂着した遺体を村人達が埋葬していた日本人遺骨約257体を発掘し帰国した。当時、日本政府は日本人納骨堂の建立と日本人遺骨発掘に対するお礼として韓国人遺骨2体を韓国に渡した。 1971年、韓国政府は日本人納骨堂に収まれていた約5千体の遺骨を日本に送還した。また、韓国政府は、日本政府の要請を受け、二回目の日本政府発掘団の入国と発掘を許可、10月から済州島に埋葬されていた日本人遺骨の発掘を支援した。1970年の西海岸での発掘と1971年の済州島での発掘とも、韓国政府や地方行政機関、及び住民達の積極的な協力があったからこそ日本人遺骨の送還が行われたと言える。その結果、1971年11月、日本政府は246体の朝鮮人旧軍人軍属の遺骨を韓国側に返還した。この遺骨返還は戦後、両政府間の協議を経て日本側が韓国に韓国人遺骨を本格的に渡し始めた初事例であった。以来、日本政府は間欠的に朝鮮人旧軍人軍属遺骨を韓国政府に渡してきた。 本稿は、戦後初めて日本政府調査団が韓国を訪れ、日本人遺骨を直接収拾し帰還するまでの外交協議や過程を説明し、これが日本にあった韓国人遺骨の返還のための韓国政府の先行的な措置であったこと、日本人遺骨調査や発掘、収拾と帰還に至るまで在日韓国人と、該当の地方政府や関係者、住民達が積極的に協力したことに焦点を置いた。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5 | 0.85 | 0.7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1 | 1.461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