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비교 = (A) comparison of teachers' recognition of the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with mothers'
저자
발행사항
구미 :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7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 아동복지학과 , 2007. 2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KDC
338.5 판사항(4)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형태사항
ⅲ, 71p. : 삽도 ; 26cm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54-58
소장기관
본 연구는 유아수학교육의 전반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을 파악하여 유아수학교육 발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본 연구에서는 2006년 현재 교사집단은 대구 및 경북구미 소재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204명과 어머니집단은 대구 및 경북구미 유치원 및 어린이집 만 2,3,4,5세 어머니 288명를 대상으로 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질문지가 회수된 교사용 220부와 어머니용 318부 중 응답이 불충분한 교사용 16부와 어머니용 30부를 제외한 총 492부를 연구자료로 삼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자료의 분석 및 통계는 컴퓨터 통계 프로그램인 SA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다. 유아 수학교육의 목적 및 내용 부분은 5점 척도의 값이 연속적인 자료 형태이므로 교사와 어머니 집단간의 평균(표준편차)을 산출하여 t-test검증하였고, 유아 수학교육의 교수 방법 및 평가 부분은 각 교수 방법 및 평가들이 명목형 변수이므로 빈도(백분율)를 산출하여 x 검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절차를 걸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유아 수학교육에 목적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차이는 전반적으로 수학교육의 목적을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교사와 어머니는 ‘수학적으로 추리하고 사고하는 기초능력을 기른다’ 와 ‘’수학적인 문제 상황에 창의적으로 접근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수학적 사고를 그림, 상징, 언어, 도표 등의 표현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는 목적을 중요시 했다.
둘째, 유아 수학교육 내용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전반적으로 유아 수학교육의 내용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교사와 어머니 집단은 ‘분류’, ‘서열화’, ‘수개념’을 중요하다고 인식했는데 ‘측정’, ‘기하’, ‘컴퓨터’등과 같은 현대 수학교육에서 강조하는 수학교육내용은 두 집단 모두에서 낮은 반응을 보였는데, 이런 결과는 현대 수학교육에서 새로 제기된 수학교육 내용보다 ‘분류’, ‘수개념’, ‘서열화’, 등과 같은 기존의 전통적인 수학교육 내용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유아 수학교육의 교수 방법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면, ‘개별’이 수학 활동을 하기에 가장 용이한 집단의 크기라고 인식했다.
교사들은 ‘자유선택활동’과 ‘이야기 나누기’가 수학활동하기에 가장 용이한 활동이라고 보았고 어머니들은 ‘자유선택활동’과 ‘작업’이 용이한 활동이라고 보았다. 수학활동시 효과적인 접근 방법으로는 교사와 어머니 집단 모두 ‘놀이를 통한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보았고, ‘구체적 조작물을 이용한 학습’과 유아들이 수학을 학습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인식되었다.
교사와 어머니들 모두 ‘수학교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부족’ 하고, ‘가르쳐야할 범위 이해 부족’으로 수학 지도시 가장 어려운 점이라고 인식하였다. 이는 다양한 수학 활동 및 수학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연수가 필요하고, 어머니들도 일상 생활 속에서 할 수 있는 수학 활동을 안내해 주는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유아 수학교육 평가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을 보면, ‘수학적인 문제 해결력 파악’을 평가시 가장 중요한 목적이라고 인식하였고, ‘숫자를 읽고 쓸 수 있는 능력 파악’하는것은 교사보다 어머니들이 더 높게 인식되었다.
교사와 어머니 모두 평가 결과의 활용에 대한 인식으로는 ‘학습활동을 계획할 때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 ‘교육과정 프로그램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수학교육 평가시 ‘분류’, '수개념‘, ’서열화‘를 우선적으로 평가해야 할 수학교육 내용이라고 교사와 어머니 모두 인식하였다. 무엇보다 교사들보다 어머니들이 ’수개념‘에 대한 내용을 중요시 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pply basic data needed to develop Math Education of children by grasping cognition of teachers and mothers for general field of the Math Education of children.
For this thesis, as of 2006, the subject group of teachers were 204 teachers of kindergarten and children's house in Daegu and Gumi City, and mothers were 288 mothers of children of 2, 3, 4 and 5 years old in kindergarten and children's house in Daegu and Gumi City. Total 492 answers were used for analysis, excepting 16 of teachers and 30 of mothers which had poor contents of response among collected 220 of teachers and 318 of mothers. Analysis and statistics for this thesis were treated by computer with SAS. As for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Math Education of children, they were verified by t-test by calculating average(SD) between groups of teachers and mothers since it was continuous data with five score degree, and as for the teaching method and assessment of the Math Education of children, they were verified by x2 by percentage since they were nominal variable.
Through these process, the results were gotten as follows;
First, as for the difference of cognition of teachers and mothers for the purpose of Math Education of children, they had general cognition that the purpose of Math Education was important. Especially, the teachers and mothers emphasized the purposes such as to develop basic ability for mathematical reasoning and thinking, to develop approaching ability with creativity for mathematical situation, and to develop ability to express mathematical thinking to picture, symbol, language, table, etc.
Second, as for the difference of the cognition between teachers and mothers on the importance of contents of Math Education of children, they generally cognized that the contents of Math Education of children were important.
Both of the groups cognized that classification, ordering and numeric concept are important, but both of them showed low reflect for the contents of Math Education which was emphasized by modern Math Education such as measuring, geometry and computer, and this result means that they were cognizing traditional Math Education such as classification, ordering and numeric concept more important than newly suggested contents of Math Education in modern Math Education.
Third, as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gnition of both of them for teaching method for Math Education of children, both of them cognized that individual method was the best size for easy control for Math activity.
Teachers regarded that free choice activity and talking together were the easiest activities for Math activities, and mothers regarded that free choice activity and working were the most effective activities. And, study with concrete material to control was regarded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children to learn Math.
Both teachers and mothers regarded that most difficult factors to teach Math were poor professional knowledge on Math Education and poor understanding on the range to teach. It means that teachers are in need of training for the contents of Math and for various Math activities, and mothers are in need of education to guide Math activities in their daily lives.
Fourth, as for both of their cognition for the assessment of Math Education of children, they cognized that the most important aim was to grasp solving ability of Math problems. Mothers had higher cognition than teachers to grasp reading and writing ability for numbers.
As for both of their cognition for the use of assessment result, they cognized that using as basic data needed to plan for study activities and needed data to develop curriculum program were most desirable.
Both of them cognized that priority of assessment for Math Education were classification, numeric concept and ordering. Above all, mothers more emphasized than teachers for numeric concep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