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30년대 민요의 정치적 활용과 상업화 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Political Application and Commercialization Process of Folk Songs in the 1930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7-112(2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political use of folk songs in the 1930s and the process of commercialization through the "Recruitment of Local Song Phenomenon" conducted by the Chosun Ilbo(朝鮮日報) in 1935. In 1935, the Chosun Ilbo collaborated with Okeh Record, a record company, to recruit local song phenomena under the title of "Recruitment of Choseon's Top 10 City Hymn". Another purpose seems to have been hidden in the recruitment of phenomena, which put forward the cultivation of local love for the purpose of the public offering. Before the recruitment of local song phenomena in the Chosun Ilbo, local songs of Joseon were first created by the Japanese twice, which was part of Japan's internalism of including Joseon as Japan's interior. Therefore, the recruitment of local song phenomena in the Chosun Ilbo contained not only the pure purpose of evoking local love in Koreans but also the political intention of confronting the creation of local songs by the Japanese. On the other hand, the recruitment of the Chosun Ilbo's status quo promoted the commercial success of the Oke Records company, which released the album with the popular new folk songs at the time. As such, the recruitment of local song phenomena in the Chosun Ilbo was an event in which the political meaning to counter Japanese local songs and the commercial purpose of the record label through new folk songs were complicated.
더보기본 연구는 1935년 『조선일보』가 진행한 ‘향토 노래 현상모집’을 통해 1930년대 민요가 정치적으로 활용되는 양상과 상업화되는 과정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935년 『조선일보』는 음반 회사인 오케레코드사(Okeh Record)와 합작하여 “조선 10대 도시 찬가 모집(朝鮮十大都市讚歌募集)”이라는 제목으로 향토 노래 현상모집을 진행하였다. 향토애의 배양을 공모의 목적으로 내세웠던 현상모집에는 또 다른 목적이 숨겨져 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일보』의 향토 노래 현상모집이 있기 전 먼저 두 차례 일본인에 의해 조선의 지역 노래가 창작되는데, 이는 일본이 조선을 일본의 내지로 포함시키는 내지연장주의의 일환이었다. 그렇기에 『조선일보』의 향토 노래 현상모집은 우리나라 사람에게 향토애를 불러일으키기 위한 순수한 취지뿐만 아니라 일본인의 지역 노래 창작에 맞서기 위한 정치적 의도를 내포한 것이기도 했다. 다른 한편으로『조선일보』의 현상모집은 당시 유행하던 신민요를 내세워 음반을 발매한 오케레코드사의 상업적 흥행을 도모하였다. 이처럼『조선일보』의 향토 노래 현상모집은 일본의 지역 노래에 대항하기 위한 정치적 의미와 신민요를 통한 음반사의 상업적 목적이 복잡하게 얽힌 사건이었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