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공지능을 활용한 공간 아카이브의 콘텐츠 확장성 = Content Expansion of Spatial Archives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저자
지재훈 (부산시청)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11-524(14쪽)
제공처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과 아카이브의 확장에 따른 변화, 인공지능 기술의 부상, 그리고 미술 및 디자인 분야의 디지털화 현황을 배경으로 한다. 전통적인 아카이브 개념은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함께 공간적·범위적인 확장을 경험하였으며, 미술 아카이브와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더불어, 생성형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등 첨단 인공지능 기술이예술·디자인·아카이브 분야에서 창작과 데이터 분석에 적극 활용되면서 새로운 가능성과 동시에 과제들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미술 작품을 비롯한 다양한 디자인 자료의 디지털화는 기존의 물리적 한계를 넘어 온라인 및 가상 공간으로의 확산을 촉진시켰다. 이에 공간 아카이브 내에서 인문학적 영역에 인공지능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아카이브와 인공지능 기술의 융합을 통해 미술·디자인 자료 및 공간 아카이브의 미래적 방향성을 모색하고, 국내외 사례 분석과 실무 및 이론적 연구를 병행하여 인공지능이 미술·디자인 아카이브의 역할에 어떠한 변화와 확장을 가져올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연구방법) 아카이브, 인공지능, 디지털화 관련 선행연구와 사례들을 폭넓게 검토하였으며, 특히 미술 아카이브와 디지털 아카이브의 실태를 분석하고, 인공지능 기술 활용의 기능과 한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인공지능과 디지털 아카이브의 결합 가능성을 검증하고, 향후 확장 및 융합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결과) 인공지능이 디지털 아카이브와 결합될 경우 미술·디자인 자료의 창작, 확장, 대중화에 유의미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특히, 디지털 아카이브는 기존의 물리적 공간을 넘어 가상·온라인 공간으로 확장됨에 따라, 예술과 디자인의 맥락적 해석과 접근성을 증진시키는 핵심 도구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디지털 아카이브와 인공지능 기술은 상호 보완적 관계에있으며, 미래에는 이를 지속적으로 융합·확장하는 방향으로 발전시켜야 함을 제언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기술 발전 현황에 맞춘 정책적·실무적 전략 마련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표준화, 저작권 문제의 해결, 지속 가능한 디지털 큐레이션의 강화가필요하다고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아카이브와 인공지능의 융합은 문화 콘텐츠의 확장과 대중화, 그리고 지속 가능한 발전의 핵심 동력임을 본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is grounded in the context of the ongoing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of archives driven by digital technology, the rising promin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iques, and current trends in digitalization within the fields of art and design. Traditional notions of archives have experienced spatial and scope expansion in the digital era, emphasizing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digital art archives and data utilization. Moreover, advanced AI technologies such as generative AI and machine learning are actively applied in creative and data analytical processes within art, design, and archiving, opening new possibilities and presenting certain challenges. In particular, the digitalization of artworks and various design materials has facilitated their migration beyond physical boundaries into virtual and online spaces. The primary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potential for utilizing AI data within spatial archives by investigating how the convergence of digital archives and AI technologies can influence future-oriented developments in art and design data. This is undertaken by examin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and integrating practical and theoretical insights to understand how AI may transform and expand the roles of art and design archives. (Method) Through a comprehensive review of prior research and case studies related to archives, AI, and digitaliz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art and digital archives, as well as the capa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application of AI in these contexts.
Based on these analyses, it examines the feasibility of integrating AI with digital archives and proposes directions for further expansion and convergence. (Results) The findings suggest that AI, when combined with digital archives,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creation, expansion, and democratization of art and design assets. Notably, digital archives, by extending beyond physical spaces into virtual and online environments, are increasingly serving as vital tools to provide contextualized interpretations and enhance the accessibility of artworks and designs. However, copyright issues, ethical considerations, and the lack of standardization and unification in archive management emerged as some of the main challenges that need to be addressed during the study. (Conclusion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integration of digital archives and AI represents a mutually reinforcing relationship that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and expanded. It also emphasizes the need to establish policy and employ practical strategies that can address related issues such as standardization, copyright protection, and sustainable digital curation. Ultimately, the convergence of digital archives and AI is identified as a key driver for the expansion and democratization of cultural content and for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domain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