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기호학적 관점을 적용한 경험형 팝업 스토어 공간 기획 연구 - 그레마스의 의미 생성 행로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Spatial Planning for Experiential Pop-up Stores from a Semiotic Perspective - Focusing on Greimas's Generative Trajectory of Meaning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65-378(14쪽)
제공처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팝업스토어는 단순한 임시 공간에서 브랜드 경험과 스토리텔링을 제공하는 장소로 진화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팝업스토어가 트렌드를 모방하거나 시각적 효과에만 의존함으로써, 브랜드 가치를 전달하지 못하고 사용자몰입을 유도하지 못하는 획일적인 형식을 보이며 소비자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의미 있는 상호작용 형성을 저해한다는 점에서 현대 공간 마케팅의 핵심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초기 공간 기획 단계부터 브랜드 메시지와 사용자 경험을 통합하기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를 보완하고자, 기호학, 특히그레마스의 의미 생성 행로 모델을 기반으로 한 분석 틀을 제안한다. 그 목적은 사용자 몰입을 강화하고, 공간 디자인 초기 단계부터 공간과 콘텐츠를 유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략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경험형 팝업스토어의 개념, 공간 구성 요소 및 특성을 정의하고, 기존 기획 프로세스의 한계를 검토하였다. 이후 기호학적 접근을 기반으로 그레마스의 의미 생성 행로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 프레임을 구성하였다. 2024년 서울 성동구에서 운영된 다양한 카테고리의 경험형팝업스토어 5개를 사례로 선정하고, 현장 관찰 및 자료 조사를 바탕으로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은 심층, 표층, 담화의 3단계에 걸쳐 공간 요소와 콘텐츠 요소를 병렬적으로 검토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사례 분석 결과, 심층 단계에서는브랜드 철학과 정체성이 공간 콘셉트 및 내러티브 구조 설정의 기반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층 단계에서는 서사의 흐름에 맞춘 공간 구획과 체험 콘텐츠 설계가 관찰되었다. 담화 단계에서는 감각적 자극과 참여형 콘텐츠의 활용을 통해 사용자의 몰입과 브랜드 메시지 해석을 유도하는 방식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의미 생성 행로 모델이 경험형 팝업스토어 기획에서 공간과 콘텐츠 간 유기적 관계를 설명하는 전략적 도구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의미 중심 접근을통해 공간과 콘텐츠의 통합적 기획 구조를 분석하고, 각 단계별 전략적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경험형 공간 디자인에서 브랜드 메시지와 사용자 경험을 구조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기획 가이드를 제공하며, 기호학 이론의 실무 적용 사례로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본 연구는 분석된 사례 수가 적고, 기호 사변형이나 행위자 모델과 같은 일부 기호학적 도구의 적용이제한적이며, 제안된 프레임워크가 정량적 지표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토되지 않았다는 한계를 지닌다. 향후 연구에서는 사례의다양성을 확대하고, 이론적 적용을 정교화하며, 측정 가능한 평가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제안된 프레임워크의 이론적 완성도와 실무적 활용 가능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pop-up stores have evolved from simple temporary spaces into venues for brand experiences and storytelling. However, many still imitate trends or rely only on visual effects, resulting in standardized formats that fail to convey brand values or engage users, ultimately falling short of consumer expectations. This is a key challenge in spatial marketing as it obstructs the development of meaningful interactions between brands and consumers. Therefore, a more systematic and strategic approach is required at the early planning stage to integrate brand messaging with user experience. To supplement existing research, this study proposes an analytical framework based on semiotics, especially Greimas's generative trajectory of meaning. The goal is to enhance user immersion and develop strategies to organically connect space and content from the beginning of the spatial design process. (Method) This study first reviewed prior research to define the concept, spatial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experiential pop-up stores and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planning processes. Based on a semiotic approach, an analytical framework was developed using Greimas's generative trajectory of meaning. Five experiential pop-up stores from diverse categories in Seongdong-gu, Seoul, in 2024, were selected as case studies. The spatial and content elements were analyzed in parallel, across the deep, surface, and discourse stages, using field observations and documentation. (Results) The case analyses revealed that, at the deep stage, brand philosophy and identity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spatial concepts and narrative structure.
At the surface stage, spatial zoning and experiential content design that aligned with the narrative flow were observed. At the discourse stage, the use of sensory stimuli and participatory content encouraged user immersion and brand message interpretation. These findings confirm that the generative trajectory of the meaning model serves as a strategic tool that explains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content in experiential pop-up store planning. (Conclusion) This study analyzed the integrated planning structure of space and content through a meaning-centered approach, and identified strategic elements for each stage. These findings provide a practical planning guide for structuring brand messaging and user experience in experiential space design, and applying semiotic theory to practice. However,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the small number of cases analyzed; the limited application of certain semiotic tools such as the semiotic square and the actantial model; and the lack of empirical validation of the proposed framework, through quantitative indicators.
Hence,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the diversity of case studies, refine the theoretical application, and develop measurable evaluation tools, to further strengthen the theoretical completeness and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framework.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