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윤의병 신부의 <은화(隱花)> 독법(讀法) 방향 = Directions for Reading Father Yun Ui-byeong’s <Eunhwa (隱花)>
저자
전계영 (충북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59-294(36쪽)
제공처
소설 <은화(隱花)>는 윤의병 바오로 신부가 『경향잡지』에 연재한 천주교 ‘군난소설(窘難小說)’이다. 이 글은 3가지 방향에서 소설 <은화>를 새롭게 읽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은화’의 의미와 대상에 대한 것이다. 기존 논의에서는 ‘은화(隱花)’의 직역인 ‘숨은 꽃’으로 해석했다면, 본고는 ‘소화(小花) 데레사’의 ‘小花’의 의미를 참고하여 ‘은화’의 의미를 “보잘 것 없는 작은 꽃에서, 어쩌면 보이지조차 않는 꽃으로라도 하느님께 봉헌”된다는 3차적 의미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그 대상을 ‘열심교우’와 ‘파리외방전교회 소속 사제들’을 1차적으로, 다시 ‘파리외방전교회 소속 사제들’만을 2차적 대상으로 파악하였다.
둘째, 소설 <은화>에 나타나는 장소에 대해 기존 논의에서는 윤의병 신부가 생장하고 활동했던 사목 지역으로 설명하였는데, 윤의병 신부가 소설 <은화>를 창작할 때, 교우들 사이에서 전래되던 구전자료-성전(聖傳)-를 토대로 하였음을 상정할 때, 윤의병 신부 개인의 활동 범위를 넘어서는 공간, 즉 군난을 피해 숨어 살아야 했던 교인들의 공동체(교우촌)이자 그 교우촌을 찾아다니며 사목과 전교를 수행했던 파리외방전교회 사제들의 이동 경로까지 확장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셋째, 『경향잡지』(1939~1950) 소재 원본(原本)과 5판본(2012)을 비교한 결과, 1천여 곳 이상의 상이(相異) 부분이 있음을 확인하고, 이로 인해 나타나는 작품 이해 과정의 문제점을 언급하였다. 이때의 문제 제기는 작가 윤의병 신부의 의식을 바탕으로 하였다.
The novel <Eunhwa(隱花)> is a Catholic ‘Persecution novel(窘難小說)’ serialized by Father Paul Yun Ui-byeong in the Kyunghyang Magazine.
This article presents a new way to read the novel <Eunhwa> from three perspectives.
The first is about the meaning and object of ‘Eunhwa.’ Referring to the meaning of ‘小花’ in ‘Sohwa(小花) Teresa,’ this article explains the meaning of ‘Eunhwa’ as having a tertiary meaning of “offering to God even as a flower that is not even visible, rather than a small flower.” In addition, the object was primarily identified as ‘zealous believers’ and ‘priests belonging to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and again as ‘priests belonging to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Second, the existing discussion on the place that appears in the novel <Eunhwa> explained it as the pastoral area where Father Yun Ui-byeong grew up and worked. However, when assuming that it was created based on oral traditions handed down among the believers - the sacred tradition - it was mentioned that it could be expanded to include the community of believers(the village of believers) and the movement route of the priests of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who visited the village of believers to perform pastoral and missionary work.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original(原本) from the 『Kyunghyang Magazine』(1939-1950) and the 5th edition(2012),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more than 1,000 different parts, and the problems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work that arose due to this were mentioned. The problem raised at this time was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the author, Father Yun Ui-byeong.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