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지행동커플치료 기반의 비대면 화상상담과 디지털치료도구의 효과성 검증 = A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 Video Counseling and Digital Therapy Tools Based on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7-72(36쪽)
제공처
Objectives: The effect of non-face-to-face video counseling based on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and the effect of adding digital treatment tools to non-face-to-face video counseling were compared and verified through a multi-faceted measurement method. Methods: For the duration of 10 weeks, pre- and post-measurements were conducted and eight programs were provided individually to each couple once a week for 90 minutes. A total of 15 couples with infant children aged 4 to 6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tudy. Five coup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only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whereas digital treatment tools were additionally provided to the comparative group of other 5 couples. No treatment was given to the remaining 5 couples in the waiting group during the experimen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grams, the areas of cognitive, behavior and emotion were classified, respectively, and marital relations were measured in multiple ways using self-report, interaction observation, physiological measurement, and treatment process analysis using interviews. Results: First,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was effective in irrational beliefs about marital relations in the cognitive domai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in the behavioral domain, marital interaction observation, and empathy for spouses in the emotional domain, but did not affect heart rate variation. Second, when digital therapy tools were additionally involved in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it was effective in irrational beliefs about marital relationships in the cognitive domai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marital interaction observation, empathy for spouses, and heart rate variation. In addition, the change was more powerful when digital treatment tools were used compared to when only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was conducted alone. Third, the cognitive changes reported by the participants led to behavioral changes, and became an opportunity for self-change while watching the behavioral changes of the spouse. Conclusions: The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reatment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s in marital relationships, and the treatment effect was stronger when additional digital treatment tools were utiliz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creased the accessibility of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in consideration of the multifaceted aspects of cognition, behavior, and emotion, and explored the field potential of digital treatment tools.
더보기연구목적: 인지행동커플치료 기반의 비대면 화상상담의 효과와 인지행동커플치료 기반의 비대면 화상상담에 디지털치료도구를 추가 개입하였을 때의 효과를 다면적측정방식을 통해 비교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사전⋅사후 측정을 포함해 총 10주가 소요되었으며, 주 1회 90분씩 8회기의 프로그램을 각 부부에게 개별적으로 제공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만 4세∼6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 총 15커플 30명으로, 실험집단 5커플에게는 인지행동커플치료만 처치했고, 비교집단 5커플에게는 인지행동커플치료에 디지털치료도구를 추가하여 처치하였다. 대기집단 5커플에게는 실험기간 동안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인지, 행동, 정서의 영역을 각각 구분하고 자기보고 방식과 상호작용 관찰, 생리적 측정, 인터뷰를 활용한 치료과정 분석을 통해 다면적으로 부부관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지행동커플치료는 인지영역인 부부관계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과 행동영역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부부 상호작용 관찰, 정서 영역의 배우자에 대한 공감에 효과적이었으나, 심박변이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인지행동커플치료에 디지털치료도구를 추가 개입했을 때, 인지영역의 부부관계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과 행동영역인 역기능적 의사소통, 부부 상호작용 관찰, 배우자에 대한 공감, 심박변이도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인지행동커플치료만 단독으로 처치하였을 때보다 디지털치료도구를 추가하여 개입하였을 때 변화가 더욱 강력하였다. 셋째, 참여자들이 보고하는 인지 변화는 행동 변화로 연결되었고, 배우자의 행동 변화를 보면서 자신의 변화 계기가 되었다. 결론: 인지행동커플치료프로그램은 부부관계에 긍정적 변화를 보였고, 디지털치료도구를 추가로 처치했을 때 치료 효과는 더욱 강력했다. 본 연구는 인지⋅행동⋅정서의 다면적 측면을 고려하여 인지행동커플치료의 접근성을 높였고, 디지털치료도구의 현장 가능성을 탐색했다는 의의가 있다.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