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전통석류문양을 이용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제안 -청화백자에 표현된 석류문양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a Textile Pattern Design in Use of Traditional Pomegranate Patterns -Focusing on Pomegranate Patterns on Blue and White Porcelains-
저자
최정연 (협성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35-647(13쪽)
제공처
전통은 문화와 의식의 근원으로 계속적으로 연구되어져야 한다. 이 글은 전통문양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통문양에 대한 현대 디자인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전통문양에 대한 부가가치 및 문화적 가치를높이기 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전통문양, 전통석류문양, 그리고 섬유, 금속, 도자에 표현된 전통석류문양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포함된다. 이를 통하여 조선후기 청화백자의특성을 이해하고 청화백자에 표현된 석류문양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는 서적, 인터넷, 논문을 통하여 전통문양과 전통석류문양 그리고 전통공예에 표현된 석류문양을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하여 청화백자에 표현된 석류문양의 회화적 특성을 도출하여 석류문양의 재구성과 수채화를 통한 채색 작업과 아도베 포토샵(Adobe Photoshop) 프로그램을활용하여 텍스타일 패턴 작업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전통문양은 민족적 사고와 신앙 그리고 주술적 사고가 결합되어 상징적 기호로 발전되어왔다. 전통석류문양은 다산의 의미를 가지며 조선후기에 유행하였는데 전통직조직물에 표현된 석류문양은시간이 흐르면서 일률적인 배열과 단순함을 탈피하였고 자수기법으로 표현된 석류문양은 직조직물보다 자연스럽게 표현되었으며, 금박으로 표현된 석류문양은금이라는 화려한 재료에 도안화된 문양이 평면적으로표현되어 있었다. 전통금속공예에 표현된 석류문양은반입체적인 표현과 선적인 표현이 특징이었다. 도자공예 중 상감청자의 석류문양은 규칙적인 배열과 함께간결하게 시문되었고, 청화백자는 청색 안료의 붓 터치와 농담의 변화로 회화적으로 표현되었다. 이에 회화적 특성이 강한 청화백자의 석류문양의 특성을 도출하여 디자인을 진행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3 개의 청화백자를 선정하고 그 안에 표현된 석류문양을 모티프로 하여 패턴을 구성하였고, 총 6점의 여성용 의상에 적용 가능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또 청색의 색 감성을 위하여 전반적으로 블루톤을 적용한 칼라웨이(Colorway)와 그레이 톤을 함께제시하여 청화백자의 청색의 색 감각을 현대적으로재해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통문양이 과거에머무르지 않고 현대인들의 삶 속에 융화되어 우리의문화유산을 이어가고, 현대 감성이 묻어 있는 문양 디자인으로 재탄생되어 문화적으로 의미가 있는 새로운디자인으로서 가능성을 살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radition needs to be investigated continually as a source of culture and consciousnes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raditional patterns to modern designs and to enhance their added values and cultural values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traditional patterns.
The scope of this study covers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raditional patterns and traditional pomegranate patterns particularly embodied on fabrics, metals, and ceramics. To that end, this study examines characteristics of blue and white porcelai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nterprets pomegranate patterns on such blue and white porcelains in a modern perspective, and then desig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Study methods include the following: Theoretical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traditional patterns, traditional patterns including pomegranate patterns, and pomegranate patterns in traditional handicrafts in reference to books, web sites, and papers. Pictorial characteristics of such pomegranate patterns on blue and white porcelains were derived, and textile patterns were developed based on such pomegranate patterns in use of Adobe Photoshop for structuring and coloring with water colors.
The result shows that traditional patterns have been developed as a symbol that combines national thoughts, beliefs, and shamanistic thoughts. Traditional pomegranate patterns were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particularly for their meaning of fecundity.
Pomegranate patterns embodied in woven textiles of traditional fabrics broke from uniform and simple arrangements as time passed. Pomegranate patterns expressed with embroidery techniques were looked natural. Glit pomegranate patterns represent the flat design illustrated on the splendid material of gold.
pomegranate patterns on traditional metalwork feature the semi three-dimensional and linear expressions.
When it comes to ceramic art, pomegranate patterns of inlaid celadon porcelains feature the regular arrangement and simplified design. Blue and white porcelains apply painting techniques with the brush-touch of blue color and gradation of light and shade. This study suggests designs based on such painting characteristics of pomegranate patterns on blue and white porcelains. 3 blue and white porcelains were selected, and were developed with the pomegranate patterns expressed on these porcelains as the motif. Textile pattern designs are presented to be applied to 6 female clothes. The colorway that applies a blue tone is presented along with a gray tone in a way that reinterprets the blue color sensibility of blue and white porcelain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a culturally meaningful, new design of patterns taking over our cultural heritage in the modern life and reflecting modern feelings rather than being excessively obsessed to the pas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