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일제강점기에 대한 남북 문학사의 사회적 기능과 역사기억 서사지도 = The Social Function of Literary History of North and South Korea & the Story Mapping Tool of Historical Memorie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3-144(32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study compared the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which perform social function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lso, stories relationship of literary work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analyzed, and ‘The story map of historical memories abou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created with it. This tool is a map in which stories aspect of works representing the position of public memory of the two Koreas are plac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of all, North Korean textbooks were structured to access the works in the order of ‘the history of people ordeals – History of the Anti-Japanese Struggle – Revolutionary History’. In South Korean textbooks, works such as ‘satirical literature, realism, anti-Japanese literature with introspective consciousness, the Proletarian Literary’ were included. In order to build a story map, the narrative of each work was organized as ‘the reality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 the subject’s response method’. These works can be classified into stories of ‘frustration – solidarity/will to overcome – criticism/sarcasm – introspection/will to overcome – struggle – myth of armed struggle against Japan’.
Through this visual data, it is possible to deduce how the collective memory of South and North Korea is structured, and mutual criticism and self-reflection are possible through each other’s gap. This is to conn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with various actions to approach peace by grasping the existential aspect of the past history memory method, which is being reproduced in various forms. This can be said to be a methodology of basic research that seeks remedies and adjustment abilities for historical conflicts.
이 연구는 문학사의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통로로서 남과 북의 교 과서를 비교하며, 교과서 속 일제강점기를 형상화한 작품들의 서사적 관계를 지도의 형태로 시각화하는 도구를 제안하였다. 이 도구는 공동체성 관점에서 양쪽의 공식적인 역사적 담론들을 동등한 기준에서 비교할 수 있도록 교과서 작품들의 서사 양상을 시각화한 것이다.
서사지도 배치를 위해 남북한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들을 일제강점기의 현실 -주체의 대응방식 의 서사구조로 정리하면, 일제강점기 현실에 대한 고발의지 를 공통점으로 하면서 좌절-연대·극복의지-비판·풍자-성찰·극복의지- 투쟁-항일무장투쟁신화의 이야기로 세분화할 수 있다. 이로 볼 때 남한은 비판 과 풍자의 이야기에 집중되어 있고, 북한은 투쟁의 서사에 치중하여 교육하고 있었다.
이를 시각화한 매핑도구는 남한과 북한의 집단기억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가늠할 수 있게 하고, 객관적인 상호비판과 자기성찰을 가능하게 한다. 다양한 형태로 재생산되고 있는 과거사 기억 방식의 실존적 특징을 이해하며 남북의 차 이를 기억의 다양성으로 인정하게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서로의 공백을 확인하 여 분단국가주의적 입장에서 배제된 것이 무엇인가를 성찰하게 한다. 이는 역사 갈등에 대한 치유와 조정 방안을 강구하는 남북 문학사의 통합적 연구방법이라 할 수 있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