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수브랜드 구성요소에 관한 한국·중국 탐색연구
저자
발행사항
부산: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2023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 마케팅학과 , 2023. 2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KDC
325.571 판사항(6)
발행국(도시)
부산
기타서명
An exploration study on the elements of the mineral water brand in korea and china
형태사항
ⅴ,60장.: 삽화, 도표;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문재
국문, 영문초록 수록
참고문헌 수록
UCI식별코드
I804:21020-200000675713
소장기관
생수시장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면서 업체 간 경쟁도 치열하며 생수시장 세분화, 차별화, 기능화 추세가 날로 뚜렷해진다. 기업들이 다양한 소비층 수요에 부응하고 있는 제품을 생산하고 브랜드 파워와 제품의 품질이 중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생수브랜드 구성요소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2022년 3월 기준, 한국과 중국 생수브랜드평판 상위 각 5개 생수브랜드를 대상으로, 브랜드의 언어적 요소인 네이밍과 슬로건, 비언어적 요소인 로고타입, 타이포그래피, 일러스트레이션, 컬러와 레이아웃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언어적 요소에서 네이밍은 한국과 중국이 비슷하게 수원지 유형을 많이 사용하였다. 한국은 제품 특성을 표현한 제품품질 유형을 선호하며, 중국은 기업명을 강조하는 유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슬로건은 한국이 대부분 명칭 제시형으로 브랜드명을 강조하고 있다. 중국은 가치 제시형으로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를 표현하였으며 다양한 슬로건 형태를 제시하였다.
비언어적 요소에서 로고타입은 한국과 중국이 모두 언어와 시각의 결합 방식으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워드마크와 콤바네이션 유형을 사용하였고 심볼마크 유형과 앰블렘마크 유형이 전혀 없다는 것을 확인될 수 있다. 타이포그래피는 한국 생수브랜드가 가로와 세로획의 굵기가 같기 때문에 가독성이 높은 산세리프를 더 많이 선호하며, 중국은 한국과 달리 곡선미를 강조하는 세리프로 조금 더 많이 사용했지만, 산세리프로 비슷하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러스트레이션은 한국이 자연이미지를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하며, 중국은 간단한 그래픽이미지 유형과 자연이미지를 균형적으로 사용하였다. 컬러는 한·중 양국은 모두 깨끗한 물과 시원한 맛을 강조하기 위하여 한색 계열을 더 많이 이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라벨의 레이아웃은 한국은 모두 상단형 배치로 나타났다. 중국은 한국에 비해 다채롭고 다양한 라벨 배치를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한국 생수브랜드는 비슷한 디자인이 많으며 다양한 형태를 가진 것이 아니라 특정한 유형 안에서 디자인 요소를 더해 차별화를 강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은 다양한 디자인 형태를 활용하지만, 대체적으로 기업 위주의 디자인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다. 마케팅 측면에서 한국은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중시한다. 반면에 중국은 아직 기업의 일방적인 메시지 전달하여 CI를 강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생수브랜드 사례의 비교분석연구를 통해 마케팅에서 브랜드 구성요소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향후 생수 브랜드이미지 표현전략 수립과 생수의 디자인 제작 방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로 이용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mineral water market shows steep growth, competition among companies is fierce, and the trend of segmentation, differentiation, and functionalistic of the mineral water market is becoming increasingly obvious. Companies are producing products that meet the demands of various consumers, and brand power and product quality are being emphasized. As a resul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top five mineral water brands in Korea and China's linguistic elements, such as name and slogan, and nonverbal elements, such as logo type, typography, illustration, color, and layout, as of March 2022.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for verbal elements, the names are similar to those of South Korea and China, and many types of water sources are used. Korea prefers product quality types that express product characteristics, and China uses types that emphasize corporate names. The slogan emphasizes the brand name, as do most of the names in Korea. China expressed the value pursued by companies in the form of value presentation and presented various slogan forms.
In nonverbal elements, it can be confirmed that both Korea and China used word and combination types that effectively communicated information in a language-visual combination manner and that there are no symbol and emblem types at all. Typography prefers highly readable Sans-Serif because Korean mineral water brands have the same width and vertical strokes; unlike Korea, China used it a little more as a serif that emphasizes curved beauty, but it was found to be similar to Sans-Serif. For illustration, Korea uses natural images overwhelmingly, and China uses simple graphic image types and natural images in a balanced manner. As for the color, it can be seen that both Korea and China used more color to emphasize clean water and a cool taste. The layout of the labels in Korea was all shown in a top-down arrangement. Compared to Korea, China has a variety of colorful labels.
Overall, it can be seen that Korean mineral water brands have many similar designs and do not have various forms, but emphasize differentiation by adding design elements within a specific type. China uses various design forms, but it is generally approaching the direction of corporate-oriented design. In terms of marketing, Korea values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China, on the other hand, continues to emphasize CI by sending a unilateral message from companie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study of Mineral Water brand cases, we hop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brand components in marketing and use them as data that can help establish strategies for expressing Mineral Water brand images and the direction of design produc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