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휴암 백인걸의 근학의 자세와 염절의 정신 = A study on The attitude of studying and the Yeomjeol spirit of Hyuam Baek In-geol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주제어
KDC
001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9-96(28쪽)
제공처
이 논문은 휴암(休庵) 백인걸(白仁傑, 1497~1579)이 도학과 절의정신의 바탕이 어디에서 근원하는지를 규명하고자 박문약례의 근학의 자세, 청렴절개의 염절의 정신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는 정암 조광조(趙光祖)-휴암 백인걸(白仁傑)-묵암 성혼(成渾)으로 이어지는 도학의 정맥으로 사(士)로서 독서인과 대부(大夫)로서 치인의 자세가 반영되어 나타난 것이었다.
백인걸은 근학(勤學)과 염절(廉節)을 바탕으로 직도(直道) 정신을 표출시킨 도학자이다. 직도는 ‘올곧은 도’를 말하는데 이는 만절불변(萬折不變)의 자세다. 이것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내적으로는 청렴한 삶과 강직한 절개가 바탕이 되고, 외적으로는 직도의 자세로 표출될 수 있었다. 이는 인(仁)이 충의로 드러나고 이를 통해 조화를 추구한 것이었다. 따라서 그의 도학과 절의정신은 조광조의 도학을 체득하여 박문약례(博文約禮)를 통해 근학을 이루었고 청렴절개의 염절이 융화되어 시문에 형상화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백인걸의 도학과 절의정신을 시와 문장에서 고찰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그의 시작(詩作) 편수가 작아서 전모를 살펴보는데 부족한 점이 있어서다. 하지만 이 논문은 백인걸이 스승에게서 계승한 도학과 절의 정신 그리고 자신의 직도정신을 묵암 성혼으로 전하는 도학정맥의 가교 역할과 도학적인 시풍을 진작시킨 인물이라는 점을 밝힌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This paper was divided into the attitude of Park Mun-yak-rye’s Geunhak, Jik-do, and practice of integrity incision to find out where Hyuam Baek In-geol (1497-1579) originated from the spirit of Dohak and Jeoleui. This was a vein of Dohak leading to Jeongam Jo Gwang-jo, Hyuam Baek In-geol, and Mukam Seong-hon, reflecting the attitude of as a Sa and a Daebu.
Baek In-geol was a Dohakja who expressed the spirit of Jikdo based on his Geunhak and Yeomjeol. Jikdo refers to “straight do,” which is an unchanging posture. In order to practice this, it was based on an internally clean life and upright incision and could be expressed externally in a direct attitude. This was the pursuit of harmony through which In turned out to be loyal.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is Dohak and the spirit of Jeoleui were embodied in poetry by learning the Dohak of Jo Gwang-jo and studying through Park Mun Yak-rye, and the Yemjeol of integrity incision was harmonized.
It was not easy to examine Baek In-geol's spirit of Dohak and Jeoleui in poetry and sentences.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his poems is small, so it is insufficient to examine the whole story. However,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at Baek In-geol was a person who promoted the bridge role and Dohak poetry of the Dohakja vein that conveys the spirit of Dohak and Jeoleui inherited from his teacher Jeongam Jo Gwang-jo, and his Jikdo spirit as Mukam Seong-h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