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OPUS
KCI등재
SCIE
한국인 Gilbert 증후군 환자에서 UGT-1Al 유전자 다형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Polymorphism in UDP-glucuronosyltransferase 1(UGT-1A1) Promoter Gene in Korean Patients with Gilbert`s Syndrome
저자
김윤홍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연종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정길만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효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재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변관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박영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창홍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0
등재정보
SCOPUS,KCI등재,SCIE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32-138(7쪽)
제공처
목적 : Gilbert 증후군은 UDP-glucuronosyltransferas(UGT-1A1)의 활성도가 정상인의 30%정도로 감소하여 발생한다고 알려져 왔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UGT-1A1의 promoter A(TA)TAA 부위에 변이가 발생하여 부가적인 수의 염기가 존재해서 (TA)7/7 이나 (TA)6/7을 이루게 되면 Gilbert 증후군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변이의 발생 빈도나 양상은 인종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는 한국인 Gilbert 증후군 환자에서의 UGT-1A1의 promoter 변이의 빈도 및 발현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Gilbert 증후군 환자 12명과 정상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의 대상군의 혈액에서 DNA를 분리한 후 direct sequencing을 시행한 후 양군에서의 UGT-1A1의 promoter 부위 A(TA)TAA 변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1) Gilbert 증후군 환자 총 12예 중에서 5예는 A(TA)6/6TAA homozygote를 보였고 5예는 (TA)6/7TAA heterozygote를 보였다. 나머지 2예에서는 A(TA)7/7TAA homozygote를 보여서 총 A(TA)TAA 유전자 변이율은 58.3%를 보였다. 2) 건강 대조군 20예 중 17예는 A(TA)6/6TAA homozygote를 보였으며 2예는 A(TA)6/7TAA heterozygote를 보였다. 나머지 1예는 A(TA)7/7TAA homozygote를 보여서 A(TA)TAA 유전자 변이율은 15%를 보였다. 3) Gilbert 증후군 환자에서의 A(TA)TAA 유전자 변이율은 건강 대조군에서의 변이율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p=0.018). 결론 : 한국인 Gilbert 증후군 환자에서의 UGT-1A1의 promoter A(TA)TAA 유전자 변이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더 높았으나 이러한 변이가 없는 Gilbert 증후군 환자도 다수 있어서 이 변이가 한국인에서 Gilbert 증후군을 일으키는 유일한 원인은 아닐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다른 UGT-1A1 염색체의 변이와 Gilbert 증후군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들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더보기Backgrounds/Aims: Hepatic glucuronidating activity, essential for efficient biliary excretion of bilirubin, is reduced to about 30 percent of normal in patients with Gilbert's syndrome. Patients with Gilbert's syndrome have an additional TA insertion in the A(TA)TAA of UDP-glucuronosyltransferase 1 (UGT-1A1) promoter gene. This results in reduced frequency and accuracy of transcription initiation and enzyme activity. The frequency and location of the mutation vary according to races.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UGT-1A1 promoter gene mutation in Korean cases of Gilbert's syndrome. Methods: Promoter
regions of the gene for bilirubin UGT-1A1 in twelve patients with Gilbert's syndrome and twenty healthy subjects (controls) were sequenced. Results: 1) Among twelve Gilbert's syndrome five patients were homozygous for A(TA)6/6TAA, two were homozygous for A(TA)7/7TAA, and the other five were heterozygous for A(TA)6/7TAA. The prevalence of A(TA)TAA mutation was 58.3 percent. 2) Among twenty healthy subjects seventeen were homozygous for A(TA)6/6TAA, one was homozygous for A(TA)7/7TAA, and two were heterozygous for A(TA)6/7TAA. The prevalence of A(TA)TAA mutation was 15percent. 3) The prevalence of A(TA)TAA mutation in Gilbert's syndrome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s (p=0.018). Conclusion: Although the prevalence of A(TA)TAA mutation in Korean patients with Gilbert's syndrome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s, the mutations of the promoter region of UGT-1A1 gene appear not to be the main or sole cause in Gilbert's syndrome in Korea since the prevalence of A(TA)TAA mutation is not so high. Further studie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 UGT-1A1 gene mutation and Gilbert's syndrome in Korea are needed.(Korean J Hepatol 2002;8:132-138)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