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싱가포르 협약과 민사조정법의 조정절차에 대한 체계 정합성 확보 방안 = A study on systermatic consistency of mediation between U.N. Convention on International Settlement Agreements Resulting from Mediation and Korea Court- and Court-Annexed Medi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61-410(50쪽)
제공처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viewing mediation as a procedure and as of something complex dispute resolution tools which leads to an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If the former position is ta ken, mediation must have procedu ra l characteristics which are distinct from negotiation, arbitration and litigation. Other wise, the mediation is superficial(nominal) mediation, and the nature belongs to litigation, arbitration, or negotiation.
In the case of viewing litigation as a procedure, it is inevitable to emphasize the procedural subjectivity of the parties, which grants the parties the right to select procedures, form procedures, and terminate procedures also, which is distinct from negotiation, arbitration, and litigation. Unlike negotiation, mediation has a mediator as an essential element, a nd t he Cauc u s wh ich is d is ti nc t f rom A rbit ration a nd Litigation. This type of mediation can be seen as the form of mediation envisaged by U.N. Convention on International Settlement Agreements Resulting from Mediation.
For this reason, from a procedural point of view, consistency in the entire dispute resolution system of mediation is important, and mediation is understood as the restoration and expansion of private autonomy to the parties. For this reason, the deprivation of the party’s procedural rights or the unilateral operation of a mediation system by institutions (organizations) is criticlal. Mediation procedure mainly need to be controlled by the consent of the parties in every phase. In the mediation process, the mediator’s partiality with one party as a guardianship is also regards as a fall into the temptation in the name of procedural efficiency.
However, if we look at conflicts and disputes at the national level to lessen the explosion of litigation, looking mediation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procedural tool to restoring private autonomy could be act as a stumbling block.
Before ratifying the U.N. Convention on International Settlement Agreements Resulting from Medi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adjust Korea’s mediation system fitting to the Global Mediation Standard.
To get to the Goal, I propose to amend A rticles 220, and 461 of the Civil Korea Procedu re Act, and A r ticle 29 of the Korea Cou r t Adjudication(Mediation) Law. This also leads to reorganize various administrative committee mediation systems. I also propose to establish an Integrated National Mediation Institution as an independent national entity(body).
우리나라 민사조정법은 “조정=합의”라고 이해하고 있다. 민사조정법 제27조는 조정의 불성립이라는 제목하에 당사자 사이에 합의가 성립되지 않은 것을 조정의 불성 립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민사조정법은 조정→합의→당사자간의 합의→화해 라는 식의 논리로 법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법원이 관여하는 조정도 당사자들의 합의를 끌어내므로 자율적 분쟁해결절차이며 ADR에 포함된다고 설명한다.
민사조정법의 조정 개념에 대한 혼란은 ADR 내에 화해를 포함하면서 발생한 문제 라고 할 수 있다. 분쟁의 양 당사자가 화해로 분쟁을 해결하는 것은 분쟁 해결의 결과 이지 분쟁해결절차의 한 방법이 아닌데 그것을 ADR에 넣고 조정절차가 화해절차와 같은 것으로 오해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필자는 종래 ADR의 분류에서 화해를 제외하고 협상, 조정, 중재로 재분류하 자는 견해를 취해 왔다. 그리함으로써만 조정을 비송사건이라고 하여 소송과 대비되는 것으로 설명하면서도 조정절차에서의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재판상화해와 동일한 효력(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까지 인정하여 결국 “조정=화해”가 되고 조정절차는 비송사건으로 소송이 아니지만 결국 소송절차인 화해이며 소송과 다를 것이 없다는 논리 모순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민사소송법 제461조에서 “제220조의 조서”를 삭제하자는 의견을 제시한다. 이 방법이 민사조정법을 포함한 각종 행정위원회 조정에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 그중에서도 무분별하게 기판력을 확장하는 연결고리를 없애는 방법이 될 수있기 때문이다. 이 조항을 그대로 두는 한 현재와 같은 조정의 재판화는 가속화될 것이고 현재 우리나라 조정의 현실은 개선되기가 힘들다.
동시에 필자는 조정에 재판상화해의 효력을 부여하여 조정과 재판의 구분에 혼선을 초래하고 조정의 재판화를 가속하고 있는 민사조정법 제29조와 민사조정법 제30조의 조정을 갈음하는 결정 역시 삭제하자는 의견을 제시한다. 왜냐하면 민사조정법의 합의 역시 합의인 한, 당사자들이 자발적으로 합의의 의사표시를 하는 것이지, 법관이나 조정인이 일방적으로 결정문을 작성하여 통지하고 당사자들이 그 결정에 이의 하지 않으면 합의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합의한 것으로 치는 것은 결국 합의를 강요하는 것일 수밖에 없다. 때로 당사자 일방이 조정을 갈음하는 결정을 해 달라고 요청하더라고 그것이 그 결정에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을 부여할 이유가 될 수는 없다. 조정갈음결정이나 화해갈음결정은 근본적으로 ‘법관’이 ‘직 무수행상’ ‘선고’라는 절차를 통하여 내린 판결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