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신생아 발작을 진단하기 위해 시행되는 Amplitude integrated electroencephalography에 대한 고찰 = Amplitude Integrated Electroencephalography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or Diagnosis of Neonatal Seizure
저자
김유진(Yu-Jin Kim) ; 심지윤(Gi Youn Sim) ; 김미정(Mi-Jung Kim) ; 임진아(Gina Lim) ; 김원섭(Won Seop Kim)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주제어
KDC
516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77-183(7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목적 :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신생아 경련이 의심되어 aEEG (Amplitude-integrated elect-roencephalography)와 EEG (electroencephalo-graphy)를 시행한 신생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신생아 경련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aEEG의 선별도구로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9년 1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임상적으로 경련발작이 있거나 아미노필린과 지속적 양압환기에도 반응하지 않는 무호흡이 있어 신생아 경련이 의심되는 환아 24명의 aEEG 결과와 EEG 결과, 뇌초음파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aEEG 결과에서는 15명(62.6%)은 경련양상(seizure pattern)이 있었으며 평평한 양상(flat pattern)은 2명(8.3%), 돌발파 억제 양상(burst suppression)이 2명(8.3%), 정상(continuous nor-mal voltage)은 5명(20.8%)이었다. EEG 결과에서는 15명(62.5%)은 신생아 경련, 2명(8.3%)은 대뇌 기능 장애, 7명(29.1%)은 정상소견을 보였다. 총 24명의 환아 중 15명이 신생아 경련으로 진단되었다. 임상적으로 경련 발작이 있거나 아미노필린과 양압환기에도 반응하지 않는 무호흡이 있어 신생아 경련이 의심되어 aEEG를 시행한 24명의 환아의 aEEG결과와 EEG결과와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Kappa=0.56, P value<0.05). aEEG를 시행한 환아 24명중 19명(79.2%)에서 비정상 결과를 보였으며 비정상 결과를 보인 19명의 뇌초음파에서 의미 있는 결과는 2명(두개내 출혈이 1명, 뇌부종이 1명)으로 두 검사간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론 : 신생아 경련의 진단에 있어 환아 바로 옆에서 지속적으로 감시가 가능 한 aEEG는 EEG를 시행하기 전 선별검사로서 의의가 있었다.
Purpose : To assess the usefulness of amplitude integrated electroencephalography (aEEG), we compared aEEG with electroencephalography (EEG), which is one of the most useful tools for assessment of neonatal seizure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Methods : We retrospectively studied 24 neonates who had been suspected of seizure activity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rom January 2009 to February 2010. The 24 neonates had seizure or apnea that did not respond to aminophylline or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We compared the correlation and efficacy of diagnosis among aEEG, EEG, and neurosonography.
Results : We analyzed 24 aEEG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The aEEGs showed a seizure pattern in 15 (62.6%), burst suppression pattern in 2 (8.3%), flat pattern in 4 (8.3%), and normal in 5 (20.8%). The results of EEGs showed 15 neonatal seizures (62.5%), 2 cerebral dysfunctions (8.3%), and 7 normal findings (29.2 %). A correlation between aEEG and EEG was noted (P<0.05).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aEEG and echoencephalography.
Conclusion: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aEEG and EEG for seizure detection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We think that aEEG is an useful screening tool for seizure detection in neonate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9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7 | 0.17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6 | 0.14 | 0.384 | 0.0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