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온라인 가나다 상담에 나타난 띄어쓰기 질문 유형 고찰 = Examining the Types of Spacing Questions That Appear in Online Alphabet Consultations
저자
서은아 (상명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7-66(20쪽)
제공처
이 연구는 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 상담에 나타난 띄어쓰기 질문 유형을 품사별로 분류하고 질문의 빈도별 특징을 살펴보는 한편 질문 유형과 띄어쓰기 조항의 상관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23년 1월부터 3월까지 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 상담 건수를 전수한 4,793건을 1차 조사 대상으로 삼고 이 가운데 띄어쓰기 질문 858건을 2차 조사 대상으로 삼아 띄어쓰기 질문 유형을 분석하였다. 온라인 가나다 상담 가운데 어문 규범이 차지하는 질문은 1,758건으로 전체 상담 건수 중 36.7%에 해당한다. 어문 규범 중에 띄어쓰기 질문은 48.8%로 높은 빈도를 차지한다. 이러한 결과는 어문 규범 중 띄어쓰기를 가장 어려워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가나다 상담 사례에 나타난 띄어쓰기 질문을 유형별로 분석함으로써 어떤 유형을 어려워하는지 어떤 근거로 띄어 써야 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띄어쓰기 질문 871건 온라인 가나다 상담 조사 기간을 통해 전수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하면 띄어쓰기 질문은 총 858건이지만 이는 상담자를 중심으로 하여 수집된 결과이고, 실제 한 명의 상담자가 여러 건의 질문을 올린 경우를 건수에 반영하여 총 871건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띄어쓰기 질문 건수를 871건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을 9품사로 분석한 결과, 용언 관련 질문이 48.9%(426건)로 빈도가 높았고, 다음으로 체언 관련 질문이 39.2%(341건), 수식언 관련 질문이 8.7%(76건)로 나타난다. 용언 관련 질문에서는 ‘본용언+보조용언’ 유형이 48.6%(207건)로 빈도가 높으며, 체언 관련 질문에서는 명사 유형이 75.1%(256건), 수식언 관련 질문에서는 관형사 유형이 60.5%(46건)로 각각 높게 나타난다.
띄어쓰기 질문 유형을 띄어쓰기 조항과 관련하여 살펴본 결과, 띄어쓰기 조항 중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는 한글맞춤법 총칙 제2항의 조항과 관련된 띄어쓰기 질문 유형이 62.3%(543건)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며, 다음으로 띄어쓰기 조항 중 보조용언 관련 조항인 47항과 관련된 띄어쓰기 질문 유형이 25.7%(224건)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띄어쓰기 교육 시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한 이해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첫째, 단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단어와 한 단어에 대한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관형사의 개념과 기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셋째, 접두사와 접미사의 개념과 기능을 이해해야 한다. 넷째, 의존명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다섯째, 보조용언의 개념과 기능에 대한 이해 교육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spacing questions that appear in the online Korean alphabet consultation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by part of speech,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 by frequency, and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question types and spacing clauses.
From January to March 2023, 4,793 cases of online Korean alphabet consultations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were taken as the primary survey, and among them, 871 spacing questions were used as the secondary survey to analyze the types of spacing ques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871 spacing questions by part of speech, verb-related questions were the most frequent at 48.9% (426 cases) of the total, followed by noun-related questions at 39.2% (341 cases) and modifier-related questions at 8.7% (76 cases). ) appeared.
In questions related to verbs, the ‘main verb + auxiliary verb’ type was the most frequent at 48.6% (207 cases). In questions related to verbs, the noun type was most frequent at 75.1% (256 cases), and in questions related to modifiers, the adjective type is 60.5% (46 cases). Each appears hig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ypes of spacing questions in relation to spacing provisions, among the spacing provisions, the type of spacing questions related to Article 2 of the General Rules of the Korean Orthography, which states that ‘each word in a sentence shall be written with a space in principle’ accounted for the most, accounting for 62.3% (543 cases). It appears with a high frequency, and the next type of spacing question related to Article 47, which is an auxiliary verb-related clause among spacing clauses, appears at 25.7% (224 cas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