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위만의 정변과 위만조선 성립 = Wiman’s coupd'état and Establishment of Wiman Joseon
저자
조원진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문화재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47(43쪽)
제공처
위만의 출자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논의가 있었는데 당대에 알려지지 않은성이 후대에 붙여졌다는 사실, 위만과 그의 무리가 조선의 풍속을 간직한 인물로파악된다는 사실을 통해 조선계로 이해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위만은 이미 전국말흩어지는 燕 주민을 거두며 세력을 형성했고 진대에는 군현체제에 협조하는 방식으로 어느정도 자기 세력의 독자성을 인정받으며 정체성을 유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위만이 조선에 망명한 시점에 대해『後漢書』에서는 진승이 거병한 기원전 209 년 무렵이라는 새로운 기록이 나타난다. 하지만 망명 상황이 좀더 자세하게 기록된『史記』와『魏略』의 기록을 보면 위만의 망명 시점은 전한초로 이해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위만은 이미 전국말부터 오랫동안 요동지역 독자적인 세력가로서의 실력과 경험이 있었다. 또한 고조선 서변은 이미 수만명의 중원계 이주민이 거주하고있었기 때문에 위만은 단기간에 정변을 일으킬 군사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위만은 신속하게 왕검성을 공략하면서 정변에 성공하였다. 고조선의 방어체계는 내부의 정변에 취약했다는 점이 결국 붕괴의 큰 원인이 된 것으로 이해할 수있다.
There have been many debates about the ancestry of Wiman, but it is natural to understand it as belonging to Joseon, from the fact that the surname which had not been known in those days was attached to it in the next generation and that his tribe is grasped as figures who had Joseon’s customs. Wiman already strengthened his power by gathering 燕(Yan) people who were scattered at the end of the Age of the Warring states and is presumed to maintain his tribe’s identity by supporting Gunhyeon-system, and therefore achieving the recognition of its independence in the Qin dynasty.
A new record suggesting that Wiman defected to Joseon around 209 B.C when Jiseung raised an army appears in『Huhanseo(後漢書)』. It is, however, natural to understand that Wiman defected to Joseon at the early Jinhan, based on『Sagi(史記)』and『Wiryak(魏略)』, which more specifically record the defection. Wiman already had competence and experience as an independent powerful man in the Liaodong area, since the end of the Age of the Warring states. Wiman could secure his military power for staging a coup for a short period, as tens of thousands of immigrants from the mainlands already resided in the western edge of Old Joseon.
Wiman cound succeed in the coup by quickly capturing Wanggeom Castle. The defense system of Old Joseon was vulnerable to the internal coup, which can be understand as the biggest cause of its collaps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