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골수염에 수반되는 Lamellar Nodular 골막반응에 대한 고찰 : 악성골종양과의 감별에 유용 = A Lamellar Nodular Periosteal Reaction Occuring in Osteomyelitis : Useful Finding for differentiation From Malignant bone tumor
저자
박승용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0
작성언어
Korean
등재정보
KCI등재,SCOPUS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76-782(7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e first role of radiologist concerning with tumors or tumor like lesions of bone is to differentiate natures of their benignancy or malignancy. It si true that there were much of difficulties to distinguish osteomyelitis from malignant lesions radiographically. Although there is no single periosteal reaction that is unique for any disease process, we had confirmed certain periosteal reaction, that is, a lamellar nodular pattern, might aid to differentiate osteomyelitis from malignant bone tumor. The thirty patients of acute osteomyelitis in whom the follow-up studies were possible, eighteen patients with osteosarcoma and five patients with Ewing's sarcoma were rectrospectively evaluated : periosteal reactions in acute osteomyelitis(30 cases) undergo changes in their appearance that can be categorized : thin solid(18 cases), Codman's triangle(2 cases), no periosteal reaction(10 cases) in early phases ; lamellated(7 cases) and lamellar nodular patterns97 cases) in the course of the disease with pronounced reactive osteoblastic change in the medullary cavity ; in chronic forms914 cases0, cortical thickenign(11 cases0, cortical thickenign with involucrum(2 cases) and cortical thickening with sequstrum(1 case) were noted. In 18 cases of osteosarcoma were included : thin solid(1 cases), lamellated(2 cases), sunburst(5 cases), and Codman's triangle(2 cases); combined forms(5 cases)i. e., thin solid and lamellated(1case), lamellated and sunburst(2 cases), sunburst, and Codman's triangle(1 case), lamellated, sunburst and Comdman's triangle(1 case) ; and no periosteal reaction(3 cases0. 5 cases of ewing's sarcoma showed sunburst(1 case), interrupted periosteal reaction(1 case), and no periosteal reaction(3 cases). It is advised when a lamellar nodular periosteal reaction appeared with reactive osteoblastic reasction in the host bone, even thought their looking might be suggested to aggressivenss of thelesion, I shoud ge considered osteomyelitis rather than malignant bone tumors suchas osteosarcoma or Ewing's sarcoma.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