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러시아와 라트비아 사이 - 라트갈레 지역 정체성의 혼종성 = Between Russia and Latvia – The multi-layered Identity of Latgale Province
저자
서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51-176(26쪽)
제공처
라트갈레는 라트비아 공화국을 구성하는 4개 지역 중 하나이며 전체 인구가 26만으로 네 개 지역 중 가장 많다. 라트비아어와는 차별된 단독언어로 분류되기도 하는 지역어로 대변되는 라트갈레는 발트 독일인들과 독일루터교 기반 서유럽 문화권 영향하에 발전한 라트비아 내 다른 지역들과 달리 슬라브, 가톨릭 등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문화적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는 다른 발트 3국의 일면인 라트갈레를 통해 현재 물적 인적 교류가 늘어나고 있는 라트비아 및 발트 3국의 또 다른 면목을 발굴해 보며 이를 통해 여러 문화와 민족의 접점 지역에서 나타나는 혼종적 정체성의 일반적, 혹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차별적 특성의 양상과 형성 과정을 연구하여 지역 이해도와 연구 분야 확장을 꾀함으로써 발트 3국을 보는 더 정확한 학문적 시각과 저변확대를 마련해 보고자 함이다.
Latgale is located in the Eastern part of Latvia, which comprises the republic of Latvia with Vidzeme, Kurzeme and Zemgale. Various cultural and ethnic identities have been co-existing which necessitate a specific academic approach and comprehension of the region to understand the cultural diversity and multi-layered facets formulated during the span of history. The perception of Latgale as a region is rather ‘abstract’ and ‘conceptual’. Latgalian people emphasize the emotion of belonging and ethnic solidarity as well as the distinctiveness from their titular nation. The perception of Latgale was forged with multifaceted layers compiled on the collective memories of residents along with the transition of nations, ruling people and political authorities which dominated in Latvian society during the country's histor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nhance the comprehension of the Latgale region and to expand the spectrum of academic approaches to Latvia with analysis of distinct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process of its formulation. This work consists of analyzing the multi-layer identities displayed in the borderland among various cultures and nations and to discovering different aspects of Latvia, with which the material and man-power exchange is growing with the Republic of Korea.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