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스발바르 군도의 법적 지위와 지정학적 갈등: 합리적 선택 신제도주의적 분석 = Legal Status and Geopolitical Conflicts of the Svalbard Archipelago: A Rational Choice Institutionalist Analysi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01-228(28쪽)
제공처
본 논문에서는 스발바르 군도의 법적 지위와 지정학적 갈등을 분석하며, 이를 합리적 선택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스발바르 군도는 1920년 체결된 스발바르 조약에 따라 노르웨이의 주권이 인정되었으나, 러시아를 포함한 조약 국가들의 평등한 경제활동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해석의 차이가 지속되어 왔다. 최근 국제 정세 변화 속에서, 노르웨이는 유엔해양법협약을 근거로 스발바르 군도 주변 해역에서 배타적 경제수역 설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러시아는 스발바르 조약을 내세워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논문의 전개 방식은 합리적 선택 신제도주의적 이론을 통해 노르웨이와 러시아가 국제법을 자국의 전략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는 방식을 분석하고, 스발바르 군도를 둘러싼 법적 충돌이 지정학적 역학 관계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설명한다. 유엔해양법협약과 스발바르 조약 간의 법적 모호성, 국가들의 전략적 법 해석, 북극 지역의 자원 경쟁 및 군사적 긴장과 같은 요소들이 핵심 분석 대상이다. 결론적으로 스발바르 군도 분쟁이 해결될 가능성은 낮으며, 국제해양법재판소 또는 국제사법재판소에서의 판례 형성, 다자간 협상을 통한 해결, 북극 지역의 군사적 긴장 완화 및 중국 등 제3국의 개입 가능성이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
더보기This study analyzes the legal status and geopolitical tensions surrounding the Svalbard archipelago through the lens of rational choice institutionalism. While the 1920 Svalbard Treaty granted sovereignty to Norway, it established equal economic rights for treaty signatories, including Russia, leading to ongoing disputes over interpretation. In recent developments, Norway has sought to establish an Exclusive Economic Zone around Svalbard based on UNCLOS, while Russia strongly opposes this move, citing the Svalbard Treaty.
The paper employs rational choice institutionalist theory to examine how Norway and Russia strategically utilize international law to maximize their national interests, and how legal conflicts interconnect with geopolitical dynamics. Key analytical focuses include legal ambiguities between UNCLOS and the Svalbard Treaty, strategic legal interpretation by states, Arctic resource competition, and military tensions. We conclude that the Svalbard dispute is unlikely to be resolved soon, with outcomes dependent on potential international court rulings, multilateral negotiations, Arctic military tensions, and third-party state involvement, particularly China.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