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오디션 장에서 발생하는 여성 연예인 지망생이 경험하는 성희롱에 대한 대학생들의 용인수준과 관련요인 연구 - 성태도의 매개효과와 기독교 종교유무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 The Study 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toward Sexual Harassment among Women Performers taking part in Auditions, and Correlat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xist Attitudes toward Sexual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Religious Affili
저자
이희진 (대구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9-182(34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The predominant concerns of the study consist of: (1) the direct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tolerance toward sexual harassment at an audition meeting; (2)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sexist attitudes toward sexual behavior on the tolerance toward sexual harassment; (3) the moderating effect of student religious affiliation with Christianity on each causal relationship. The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541 college students, including 248 male students and 298 female students, majoring in media, film and theatre from fiv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Chueonan, Cheongju, Daegu and Gyeongsangbuk-do. In order for respondents to verify research ques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explored. A variety of tests were conducted (i.e. metric invariance test, critical ratio for difference test, multi-group analysis, bias-corrected boot-strapping).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acticing Christian students showed direct influences from all three path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ositive effect of self-esteem on the extent to which they would tolerate sexual harassment; the effect of self-esteem on reducing the sexist attitude toward sexual behavior; and the effect of sexist attitude toward sexual behavior on level of tolerance toward sexual harassment. On the other hand, self-esteem among atheistic and non-Christian students did not show a direct effect on their tolerance of sexual harassment; yet self-esteem had a direct effect on the sexist attitude toward sexual behavior, and the sexist attitude also influences the tolerance to sexual harassment. Second, Christian students' self-esteem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tolerance to sexual harassment, resulting from the suppression of the sexist attitudes toward sexual behavior. Lastly, among atheistic and non-Christian students, although self-esteem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ir level of tolerance of sexual behavior, their sexist attitude toward sexual behavior shows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between self-esteem and level of tolerance towards sexual harassment, stemming from the suppression of sexist attitudes by self-esteem. Som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더보기본 연구는 오디션장에서 흔히 발생하는 성희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수준과 관련요인(성태도, 자아존중감) 간의 직간접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data)는 서울, 충청남북도, 대구 및 경북지역에 위치한 5개 종합대학에서 연기, 방송연예, 미디어 등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얻었다. 자료분석에서 사용된 최종표본은 541명(남 248명, 여 298명)이다. 성희롱 용인(tolerance)에 자아존중감이 미치는 직접효과와, 성차별적인 성태도의 직간접효과, 그리고 기독교 종교유무의 조절효과를 밝히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밝혀진 주요 사실은 다음과 같다. 기독교인 집단이 무종교 집단에 비해 성희롱을 덜 용인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기독교 종교를 가진 집단에서는 연구모형에 포함된 3개 경로, 즉, ‘자아존중감➝’성희롱 용인‘(.189*), ‘자아존중감 ➝성태도‘(-.218**), ‘성태도 ➝성희롱 인용인‘(.268**)가 모두 유의하였지만, 무종교 집단의 경우에는 ‘자아존중감 ➝성폭력 용인‘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고, ‘자아존중감 ➝성태도‘(-.154*) 경로와 ‘성태도 ➝성희롱 용인‘(.322***)에서 직접효과는 각각 유의하였다. ‘자아존중감➝성태도➝성희롱 용인‘ 경로에서 ’성태도‘는 기독교 집단에서는 부분매개효과(-.058; lo. -.155, hi. -.007)가 있었다. 무교 집단에서는 ’자아존중감‘이 ’성희롱 용인‘에는 직접효과가 없었지만, ’자아존중감‘이 ’성태도를 억제하여 ‘성희롱 용인’에 유의한 영향을 주어 ‘성태도’가 완전매개 역할(-.050; lo. -.111, hi. -.018)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성희롱 인식개선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8 | 0.28 | 0.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29 | 0.377 | 0.1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