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訓民正音』 解例本의 合用과 並書에 대하여 = ‘Hapyong(合用)’ and ‘Byeongseo(並書)’ in the Hunminjeongeum Haeryebon
저자
이병기 (한림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40(3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이 연구의 목적은 훈민정음의 ‘各自 竝書’가 ‘合用’에 포함되는가를 밝히는 데 있다. 고찰 결과 다음의 이유로 ‘각자 병서’는 ‘합용’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보게 되었다. 1. 訓民正音 각 글자를 結合하여 運用하는 경우 결합하는 글자와 결합된 結果音의 성격에 따라 결합의 유형을 분류했을 때, 각자 병서는 합용의 경우와 다른 부류에 속한다. 즉 각자 병서는 제3의 단일 음운이 되지만 합용의 경우는 모두 複合音이 된다. 2. 合字解에서 初聲, 中聲, 終聲의 合用을 연이어 설명할 때 각자병서가 들어가 있는 것은 각자 병서가 합용에 포함되어서가 아니라 훈민정음 전체 구성상 ‘병서’를 媒介로 이들을 함께 설명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3. 합용할 때 병서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병서는 합용 병서와 같다는 등식이 성립하지 않는다. 4. ‘합용’이 당시 굳어진 槪念語로 사용된 것은 아니지만 『訓民正音』 전체내용을 분석했을 때 ‘다른 글자들의 합’이라는 특성을 槪念化할 수 있다.
더보기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Gakja Byeongseo’(各自 竝書, identical consonant clusters) is included in ‘Hapyong’(合用, combined use) in Hunminjeongeum. Upon examination, it was concluded that Gakja Byeongseo is not included in Hapyong for the following reasons: 1. In Hunminjeongeum, letter combinations can be classified based on the types of characters being combined and the phonetic properties of the resulting sound. Within this classification, Gakja Byeongseo differs from Hapyong as it forms a third, single phoneme, whereas Hapyong consistently results in a complex sound. 2. In the Hapja-hae(合字解, Explanation of Combined Letters) section, Hapyong sequentially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initial, medial, and final sounds. The inclusion of Gakja Byeongseo in this section is not because it is part of Hapyong but because it is necessary for the overall structural framework of Hunminjeongeum through Byeongseo. 3. Since some cases of Hapyong do not involve Byeongseo, the equation “Byeongseo = Hapyong Byeongseo” is not valid. 4. Although Hapyong was not a firmly established technical term at the time, an analysis of Hunminjeongeum as a whole suggests that it can be defined as “a combination of different letter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