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이인직 소설의 문명비판과 아네자키 마사하루[姊崎正治]의 神秘主義的 종교학 = Lee Inzik’s Critique of Civilisation and Masaharu Anezaki’s Neo-Philosophical Religion
저자
다지리히로유끼 (고려대)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5-228(3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근대 비판과 종교 비판이 중첩된 니체와 달리, 아네자키는 공리주의와 유물론을 넘어서는 현대적 원리를 종교를 통해 찾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과학과 예술, 도덕을 논하면서 그 근저에는 종교적 정신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지주의적인 과학 만능주의를 부정하고, 진선미의 근원으로서 ‘신비’한 존재를 여기에 대치시킨 것이다. 아네자키 마사하루의 종교학은 양립할 수 없다고 여겨졌던 개인과 국가를 하나로 묶어 새로운 사회 통합을 지향하는 담론으로 등장했다.
근대 이행기의 전통적 ‘정교 관계’의 유교적 ‘교(종교)’의 강조와 근대 서구 문명과 일체를 이루는 기독교의 ‘종교’ 개념과의 유사성이라는 변수가 이인직 투의 ‘직관’과 ‘감정’의 신비주의적 종교학 지식으로 문명 비판하는 신소설이 경쟁 관계에 있던 이성에 의한 합리주의적 정치소설 쪽을 누르고 전개될 수 있었던 요인 중 하나라고 생각된다.
원리주의적으로 새로운 사회 통합을 지향하며 근대 이행기에 경쟁자를 물리쳤던 이인직 투의 신소설은 ‘국가사회의 영역과 분리된 사적인 개인의 세계로 침잠하는 자연주의 문학’이라는 새로운 경쟁자를 만나면서 갑자기 또는 점차 비문학적인 것으로 소멸할 운명에 처할 수밖에 없었다.
Unlike Nietzsche, whose critique of modernity coincided with his criticism of religion, Masahari Anesaki argued that religion could provide modern principles that transcend utilitarianism and materialism. He maintained that science, art, and morality must be rooted in a religious spirit, rejecting both the subjectivist universalism of science and the notion of a mystical source of truth, goodness, and beauty. Shoji Anesaki's religious studies sought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by reconciling the individual and the state, which had previously been considered incompatible.
The similarity between the Confucian emphasis on “religion” and the Christian concept of “religion” within Western civilization, as well as the evolving political-religious dynamics of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a new novel genre. This genre, which critiques civilization through the mystical religious studies of the Lee Jin-boo school, developed in a competitive relationship with rationalist political novels grounded in reason.
The Yi Jin-byeong school of new novels, which pursued social integration from a fundamentalist perspective, had previously resisted rivals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However, it eventually faced competition from “naturalistic literature,” which focused on private individual experience detached from national society. As a result, the school gradually faded, ultimately dissolving into something non-literar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