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디지털 시대의 네트워크 지식과 지식 생산의 의미에 대한 고찰 = Study on the Networked Knowledge and Knowledge Production in the Digital Ag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주제어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39-462(24쪽)
KCI 피인용횟수
3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네트워크에 기반한 새로운 지식과 지식 생산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먼저 디지털 시대의 지식에 대한 학술적 담론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네트워크 지식의 지형과 그것이 지닌 사회문화적 의미를 정리하였다. 네트워크는 특정한 지식 범주를 부상하게 하고, 개방성, 협업, 자발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지식 생산 체제의 기반이 되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에 기반한 지식이 확장되면서 기존의 지식체계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질서를 구축함으로써 민주적인 사회관계의 형성으로 바로 이어질 것이라는 낙관적인 담론들이 지닌 한계도 함께 살펴보았다. 네트워크 지식이 방대하고 그 지식을 누구나 생성하는 등 지식 생산이 집단지성에 기반하고 있다는 것만으로 인간의 삶이 다양해지고 사회가 개방적이고 민주적이 되리라 낙관하기에는 실제 현실의 조건이 중요하게 작용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방대하게 형성되는 지식으로 인해 세계와 지식에 대한 질서를 부여했던 지식인의 가치가 하락하고 일반인과 전문가의 경계가 사라지고 있다는 논의들에서 배제된 전문가의 분화와 전문성의 문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급속히 변화하고 있는 정보사회와 네트워크 지식의 담론 속에서 그것이 지닌 사회문화적 의미에 대해 파악하는 것은 현대 사회와 지식 체계로서 네트워크의 발전 방향과 전망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This article explores how Internet affected the manner in which information is created, organized and distributed, and studies the meanings of networked knowledge and knowledge systems based on the internet. First, the landscape of networked knowledge and it's sociocultural meanings are examined by analysing the academic discourse on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knowledge in the digital era. Network leads the specific areas of knowledge arises, and it becomes the base for the new knowledge production system which is characterized with openness, collaboration, and spontaneity. Secondly, it is considered that the limitations of optimistic perspectives on expanding networked knowledge directly leads to the new order and the development of democratic society. Despite the common assumption of the huge pool of knowledge and open access to knowledge production process, networked knowledge is bound to social conditions, so free information flow, open society, and democracy are still hardly gained. Knowledge is not any more a singular and absolute knowledge, but plural knowledge which is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ime, space and social factors. Lastly, this article encompasses the expertise issues drawing a line between common people and experts in the age of depreciation of the value of experts and their performances. There are two types of expertise, contributory expertise and interactional expertise. On the internet based on discourse or communication among people, interactional expertise is getting more important, and takes big position in the networked discourse. Interactional expertise, however, is about discourse to share ideas and communicate the information, not about substantive knowledge creation. So contributory expertise takes still solid position in knowledge creation even if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al expertise is increasing. In the recent periods of digital revolution, the death of intellectuals or experts is declared. With the connectivity, openness, and unlimited volume, the internet re-mediates old media, old structure of knowledge production and the roles of intellectuals and experts. In the era of digital technology, therefore, it is crucial to apprehend the concepts and meanings of networked knowledge and to understand the prospect of network as general knowledge system as well.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3-2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KCI등재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9-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1 | 0.555 | 0.1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