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부품ㆍ소재산업의 성장주도요인 추정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44(40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소장기관
본 연구는 부품산업인 조립금속, 반도체, 일반전자부품산업과 소재산업인 섬유, 철강, 비철금속, 석유화학, 정밀화학, 비료 및 질소화합물, 의약품, 제지, 시멘트, 유리산업의 성장주도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확률적 경계생산함수를 산업별로 1991~2005년 또는 1999~2005년의 미시데이터에 적용하여 총요소생산성 증가와 이의 기여요인인 기술진보를 중심으로 기술적 효율성, 규모의 효과, 배분효율성을 추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조립금속산업과 시멘트산업을 제외하면 한국 부품ㆍ소재산업의 성장을 주도해 온 동력은 총요소생산성 증가를 이끌어 온 기술진보이며, 정밀화학산업 중 비누세정 및 화장품 제조업을 제외하면 기술진보의 크기가 총요소생산성 증가의 크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반도체 및 일반전자부품 등의 IT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높은 기술진보가 그대로 총요소생산성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부품소재산업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의 핵심 동력인 기술진보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R&D 투자의 증대가 지속되어야 한다.
한편, 외환위기 이후 제조업 부흥기인 1999년에는 각 부품ㆍ소재산업에서 기술적 효율성과 배분효율성의 개선이 가장 많이 시현되었고, 그 다음으로 규모의 효과가 증대되었으며, 시멘트산업에서는 기술진보까지 발생하였다.
This study applies a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model to the Korean industries of materials and parts & components; textile, basic iron and steel, non-ferrous metals, fabricated metal products, petrochemicals, fine chemicals, fertilizers and nitrogen compounds, papers, cements, glasses, semi-conductors, general electronic parts and components, based on micro-level establishment data from 1991 ~ 2005 or 1999~2005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rowth-leading factor to their growth.
The sources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growth are broken down into technical progress, changes in technical efficiency, scale effects and changes in allocative efficiency.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d that aside from the industries of fabricated metal products and cements technical progress mainly drove the productivity growth of the Korean industries of materials and parts & components.
Except for the manufacture of soap, cleaning compounds and toilet preparations, and also the manufacture of perfurmes & cosmetics the magnitude of technical progress had strong effects on the magnitude of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of the Korean industries of materials and parts & components.
Particularly, the high technical progress brought the high productivity growth of the IT manufactures of semi-conductors and general electronic parts & components.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technical progress for the productivity growth it naturally follows that R&D investments should be increased.
During 1999 resurgence of manufacturing due to the aftershock from the 1997 financial crisis technical efficiency and allocative efficiency have been improved in six industries each and scale effects have been increased in four industries, moreover technical progress were promoted in the cement industry.
This study recommends that specific policy guidelines with respect to technical progress enhancing productivity growth are required to promote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of the Korean industries of materials and parts & component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81 | 1.23 | 0.1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