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상하이협력기구(SCO)의 위상 변화와 한국의 협력 방안: 2017년 인도, 파키스탄 가입 이후를 중심으로 = Changes on the SCO’s Status and Korea’s Cooperation Since the Accession of India and Pakistan in 2017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1-55(25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In June 2017, with the accession of India and Pakistan, the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SCO) elevated its international status and strategic value as a pan-Asian forum, along with geographical extension. Particularly, it is highly likely that with the two countries the SCO could be more open and flexible, as well as change in internal dynamics, agendas, value orientation, personality, and goals. Although some are concerned about SCO, such as the authoritarian club and the China-Russia solidarity against for US, the SCO with India – one of the major US partners and democratic country might dispel such negative images somehow.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understood how it was difficult to 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solely by bilateral relations with the ROK-US Alliance and China. So it has been seeking for building a multilateral consultative body as a complementary measure to deal with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n this regard,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multilateral cooperation concept on the Eurasian level that can contribute to peace and common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urrounding area and the SCO is the first viable option for South Korea to cooperate with. The SCO has the potential to play a positive role in Northeast Asia since it has grown as a cooperation platform for various countries as well as various security problem-solving experiences since its establishment. South Korea should seek an institutional mechanism to mitigate the current geopolitical crisis by actively seeking participation in SCO under the strategy of bandwagoning and detour.
2017년 인도, 파키스탄 가입으로 SCO는 유라시아대륙을 포괄하는 정치, 경제적 위상과 전략적 가치를 증대시켰다. 양국의 가입으로 회원국들의 역학관계변화는 물론, 의제, 가치 지향성, 성격, 목표 등이 보다 개방적이고 유연해질 것이다. 특히 SCO가 ‘비민주적 국가들의 모임’, ‘반미(反美)연대’ 라는 일부의 우려 역시 미국의 전략적 파트너이자 민주국가인 인도의 가입과 중국성장에 대한 러시아의 견제심리로 근거가 약화되고 있다.
그동안 한미동맹을 중심축으로 중국 등과의 양자관계를 통한 북핵 해결과 평화체제구축에 한계를 절감한 한국정부는 동북아 다자협의체 창설을 모색해 왔지만 성과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해결책으로 주요강대국이 참여하는 유라시아차원의 다자협력체 참여를 제안한다. SCO는 창설 이후 안보, 경제문제를 포괄하는 협력 플랫폼으로 발전해왔기 때문에 한반도의 긴장완화는 물론 유라시아 시장통합과 한국의 다양한 대외정책옵션 발굴에도 긍정적 기여를 할 수 있다. 특히 상호 존중, 평등, 내정불간섭 등 SCO의 핵심원칙들은 강대국들의 일방적인 보복이나 개입을 우려하는 중견국들에게도 매우 필요한 가치이다. 때문에 한국은 편승과 우회 전략으로 SCO와 협력을 모색하면서 유라시아대륙 차원의 국제공조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은 개발도상국들의 산업화 지원을 통한 공정한 가치사슬 구축, 상호발전, 수평적 국제관계 추구라는 일관된 대외정책의 철학과 목표를 제시하면서 국제적 리더십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9-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KCI등재 |
2009-09-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Slavic Studies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슬라브연구 -> 슬라브硏究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5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1 | 0.844 | 0.3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