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방과후학교로서 독일 전일제학교(Ganztagsschule)의 이념과 시사점에 관한 연구 = Eine Studie über die Idee der Ganztagsschule in Deutschland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교육의 이론과 실천(영: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 독: Theorie und Praxis der Erziehung)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주제어
KDC
37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2(32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국가에 의해 과정 본 연구는 오늘날 우리나라의 방과후학교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교육활동이 추구하고자 하는 본질적 차원에서 해결해야만 하는 과제로 인식하고, 독일 학교교육의 역사 속에서 꾸준히 전개되어 온 전일제학교(Ganztagsschule)의 이념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를 위해 오늘날 독일 방과후학교로서 호르트(Hort)와 전일제학교의 역사와 현황, 그리고 전일제학교의 정책방향과 그 이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념의 준거로서 본 연구는 독일 개혁교육운동시기에 학교교육을 위한 새로운 교육사상을 전개한 리츠(Lietz)의 전원기숙사학교 운동과 케르쉔슈타이너(Kerschensteiner)의 노작교육사상을 분석하였다. 두 가지 교육이론의 공통점은 당시의 사회적 요구만을 수용하여 학생의 고유한 발달적인 측면을 소홀히 하고 있는 학교교육을 비판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개인의 자발성과 자기 활동성을 바탕으로 잠재되어있는 다양한 영역을 조화롭게 발달시키는 전인교육을 실천하고자 하였던 점이다. 즉 그들에 의하면 교육의 본질적인 가치는 인간이 지니고 있는 모든 힘들을 조화롭게 형성하는 것을 돕는 데에 있다는 것이다. 독일의 방과후학교로서 전일제학교는 우리나라의 방과후학교가 학생의 도덕적 품성의 함양, 수업의 장이 아닌 교육의 장으로서의 역할 수행 그리고 개인의 흥미와 적성을 고려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제공 등을 통하여 학생의 다양한 능력을 조화롭게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이러한 시사점들은 21세기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우리 나라의 방과후학교가 지향해야 할 교육의 본질적 가치가 무엇인가에 대한 숙고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더보기Die vorliegende Arbeit zielt darauf, die geschichtliche Betrachtung und Idee der Ganztagsschule in Deutschland zu erfassen, und die daraus folgerten Vorschläge für unsere Ganztagsschule herauszufinden. Um diese Ziele zu erreichen, wurde im ersten Kapitel dieser Arbeit die historische Entwicklung und Hintergründe der Hort und Ganztagsschule in Deutschland untersucht. Im zweiten Kapiel handelt es sich um die Analyse der Idee der
Ganztagsschule, die sich im ausgehend 19. Jahrhundert in Deutschland durch die Kritik an der damaligen Schule neue Schulerziehung, nämlich Landerziehungsheimbewegung von H. Lietz und Arbeitsschulbewegung von Keschensteiner darstellt. Die beiden reformatischen Gedanken der Schulerzieung orientierten sich gemeinsam an ganzheitliche Bildung des Menschen, in derem Begriff sich das jeweilige Selbst- und Weltverständnis des Menschen wiederspielt, und die sich heute für höhstes Ziel der Erziehung hält. Die daraus folgerten
wichtigen Punkten, die für unsere Ganztagsschule aufgenommen werden könnten, sind Sittlichkeit des Menschen, Erziehug der Person und pädagogische Unterricht. Diese lassen uns darüber reflektieren, was Wesen der Schulerziehug eigentlich ist, insofern es auf menschliches Leben beziehen muß. Bei der erzieherischen Behandlung, die sich wo, wann und wie praktisert, darf nicht nachlässigt werden, die Frage danach zu stellen, was
wesentliche Werte der Erziehung eigentlich sein sollten. Die erzieherischen Behandlungen müssen sich immer mit dem freien Erkennen und Handeln des Menschen beschäftigen. In diesem Sinne sollte sich auch unsere Ganztagsschule um die Vollkommenheit der ganzheitlichen Bildung bemühe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91 | 1.91 | 1.6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8 | 1.8 | 2.369 | 0.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