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규중칠우쟁론기>의 선본(善本) 문제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Problem of Good Version of <GyujungchilUjangronji>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93-320(2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versions of <GyujungchilUjangronji>, select the authentic texts with all the content paragraphs, and derive the most consistent texts in terms of content and expression. As two versions of the <GyujungchilUjangronji> were discovered, disagreements over the original manuscript were suggested,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 discussion about whether or not it was a manuscript by thoroughly examining all the excavated manuscrip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select the original text with all content paragraphs by examining all five versions.
There are five versions of the <GyujungchilUjangronji> that have been revealed so far. Among them, with the exception of the Nason Kim Dong-wook, which shows a distinctly different aspect in terms of content, all other texts have been claimed to be original manuscripts.
In this study, the stage of derivation of the original text is divided into two stages, and the original texts are selected as texts that contain all the content elements close to the original in the bibliographical aspect and the content aspect, and then the selected authentic texts are targeted. We tried to derive the original text with the most coherence between the content and the expression by conducting a double comparison again and revealing the subtle differences between the texts.
As a result, ‘MangroKaksugi script’, ‘Yonsei University Script’, and ‘Yeongnam Script’ were selected as authentic texts, and among them, ‘MangroKaksugi script’, own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s Gyujanggak, which has the most consistency in content and expression, was derived as the original text.
이 연구는 <규중칠우쟁론기>의 이본을 비교·분석하여 내용 단락을 모두 갖춘 정본(正本) 텍스트를 선별하고, 그 중 가장 내용과 표현이 정합성을 갖춘 선본(善本) 텍스트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규중칠우쟁론기>의 이본들이 발굴되면서 어느 것이 선본인가에 대한 이견이 제시되었으나 발굴된 이본들을 모두 면밀하게 검토하여 선본 여부를 판별한 논의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섯 가지 이본을 모두 검토하여 교육제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대표성을 가진 선본 텍스트를 선별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밝혀진 <규중칠우쟁론기>의 이본은 ’망루각수기본‘, ’나손 김동욱본’, ‘고려대 도서관 소장본’, ‘연세대본’, ‘영남대본’으로 모두 다섯 가지이다. 이 중 내용적 측면에서 확연히 다른 양상을 보이는 나손 김동욱본을 제외하고 나머지 텍스트들이 모두 선본이라는 주장이 제기된 상태이다. 이 연구에서는 선본 텍스트 도출의 단계를 크게 두 단계로 구분하여 서지학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원본에 가까운 텍스트로서 정본(定本) 텍스트들을 선별한 후, 이렇게 선별한 정본 텍스트들을 대상으로 다시 이본 비교를 실시하여 텍스트의 미묘한 표현적 차이를 밝혀내고, 내용과 표현의 정합성을 총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선본 텍스트를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망루각수기본‘, ‘연세대본’, ‘영남대본’을 정본 텍스트로 선별하였으며, 그 중 갈등 형상화와 주제 구현을 위한 표현에 있어 가장 정합성을 가지고 있는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망로각수기본’이 선본 텍스트임을 밝혀내었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