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보호관찰과 경찰의 업무공조 방안 = Collaboration Between Probation Service and Police Servic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공안행정학회보(Korean Associati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Review)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주제어
KDC
35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6-109(34쪽)
제공처
한국의 보호관찰에 2008년 9월부터 전자발찌제도가 도입되면서 성폭력범죄자의 재범률의 획기적인 감소라는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면서 2014년 6월부터는 강도사범에 확대되는 등 전자발찌 업무가 보호관찰의 중요업무 영역이 되었다.
그러나 전자발찌를 부착한 상태에서 동종재범을 하거나, 전자발찌 부착장치를 훼손하는 사건이 빈번해지면서 전자발찌제도의 유용성에 대한 사회적 비판이 일기 시작하였고, 특히, 보호관찰과 경찰이 원활한 업무협조가 이루어지지 않은 점에 대한 지적이 제기 시작되기 시작하였다.
그 동안 보호관찰에서 경찰과의 업무협조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체계적인 시스템마련을 위한 노력은 전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 배경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었겠지만, 경찰의 임무와 보호관찰의 임무를 살펴보면 양 조직이 상호 추구하는 목적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보호관찰과 경찰의 원활한 업무협조는 꼭 필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외국에서는 공공부분 기관들이 국민에 대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공기관들 간의 파트너십이 널리 제시되면서, 형사사법체계도 1970년대부터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내 모든 경찰, 보호관찰, 교정기관 등 기관 간의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파트너십(community-based partnership)이 널리 발전되어왔다.
그 동안 보호관찰의 발전배경에는 법원, 검찰 기타 유관기관들과의 밀접한 관계를 바탕으로 하였지만, 보호관찰에서 경찰과의 업무협조에 다소 소극적이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전자발찌 업무의 예에서 보듯이 범죄자의 신속한 검거와 범죄예방을 위해서는 양 기관의 원활한 업무협조는 절실한 과제라 할 것이다. 다행히 최근 전자발찌 업무를 매개로 보호관찰과 경찰과의 업무협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은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보다 체계적인 업무협조체제 구축을 위하여 보호관찰과 경찰과의 공조가 필요한 이론적인 근거와 외국의 구체적인 공조실태를 문헌연구를 통하여 고찰하고, 현재 한국적 상황에서의 양 기관의 공조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본 후 향후 원활한 공조체제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electronic tagging system using GPS at the field of the Korea Probation and Parole Services in 2008, there have been some controversial issues with regard to damaging or tampering the equipment, and serious sexual crimes committed by offenders under the supervision of EM with GPS. In order to apprehend the offender quickly and prevent reoffending efficiently, it was suggested that the need of building partnerships between probation and police agencies should be important. There have been some kinds of partnerships between two agencies in korea, but it is regarded as insignificant and nonsystematic.
It is true that some countries had been tried to collaborate between the probation and the police in order to prevent the serious crime efficiently. However, in Korea the partnership between two agencies was in a poor way because of some structural problems.
In this study, firstly the theoretical backgrounds will be reviewed and the best practice in western countries will be examined in detail. Secondly, after reviewing the current practices and problems, the concrete directions of collaboration will be studied in terms of how to operate good practice for the purpose of reducing reoffending rate and protecting the society from dangerous crim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