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남성화된 암컷 생쥐의 통각반응 양상과 에스트로겐-α 수용체의 발현 양상 = Pain Response Patterns and Expression of Estrogen-α Receptors in Androgenized Female Mice
저자
제영묘(Young-Myo Jae) ; 박제민(Je-Min Park) ; 백선용(Sun-Yong Baek) ; 최병무(Byung-Moo Choi) ; 김명정(Myung-Jung Kim)
발행기관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학술지명
생물치료정신의학(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3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3-61(9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암컷 생쥐를 출생 직후 테스토스테론에 노출시키면 성장 후 통각반응과 중추신경계 통각조절부위의 estrogen-α 수용체(ERα)의 발현에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갓 태어난 생쥐(Institute for Cancer Research)에게 생후 24시간 이내에 testosterone propionate 100㎍(남성화군) 혹은 sesame oil 50㎕(대조군)씩 복강내 주사하였다. 13주째에 각 군을 반으로 나누고 naloxone HCI 5㎎/㎏ 혹은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복강내 주사하였다. 15분 뒤에 Tail immersion test로 통각예민도(TFL, sec)를 2회 측정하였다. 이어서 모든 군에게 testosterone propionate 1㎎/㎏씩 복강내 주사하고, 15분 후에 같은 방법으로 TFL을 측정하였다. 8개월 째 식염수 전처치군의 뇌를 적출하여 일차감각대뇌겉질, 시상, 중간뇌수도관주위회색질, 큰솔기핵 및 허리와 엉치척수분절 부위를 분리하였다. 각 부위별 ERα를 Western blot 분석으로 반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리식염수 전처치군에서 대조-암컷은 기저 TFL과 테스토스테론 투여 후 TFL이 대조-수컷 보다 유의하게 예민하였다. 테스토스테론은 모든 군에서 TFL을 유의하게 연장시켰다. 날록손 전처치-대조-암컷은 수컷이나 남성화-암컷 보다 유의하게 예민하였다. 남성화-암컷은 기저 TFL이 수컷 보다 예민한 경향이 있었고, 날록손이 테스토스테론의 진통효과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그 외는 수컷과 유사한 반응을 보였다.
남성화-암컷은 대조-암컷 보다 사상의 ERα western band의 광 밀도가 낮은 경향이 있었다. 그 외 부위는 세 군간 차이가 없었다. 대조-암컷은 수컷이나 남성화-암컷에 비하여 다른 부위 보다 시상에 밀집되어 있고, 큰솔기핵에는 적었다. 남성화-암컷은 수컷에 비해 중간뇌수도관주위회색질의 밀도가 다른 부위에 비해 낮은 경향이 있었지만, 다른 부위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출생직후 암컷 생쥐를 테스토스테론에 노출시키면 통각에 대한 반응이나 중추신경계 통각조절 부위의 ERα 발현 양상이 수컷과 비슷해진다는 결론을 얻었다.
Objectives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onatal exposure to testosterone in female mice on the pain responses and the expression of estrogen-α receptors(ERα) in the pain control areas of the CNS in their later life.
Methods : Testosterone propionate 100㎍ or sesame oil 50㎕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to neonatal mice within 24 hours after birth. In the 13th week of age, animals of each group(Androgenized-Female : AF ; Control-Female : CF ; Control-Male: CM) were divided into two and pretreated with naloxone HCI 5㎎/㎏ or saline 15 minutes before tail immersion test. Tall flick latencies(TFLs) were measured before and 15 min after administration of testosterone propionate 1㎎/㎏ i p.(intra-peritoneal) In the 8th month, mice were sacrificed and brains were dissected into primary sensory cortex, thalamus, periaqueductal gray, nucleus raphe magnus and lumbosacral spinal cord. ER α protein was assay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 In saline-pretreated groups, TFLs of CF measured before and after testosterone injection were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ose of CM. Testosterone prolonged TFLs signficantly in all subgroups. Among naloxone-pretreated groups, CF was significantly more sensitive than CM and AF. TFL profiles of AF did not differ from that of CM, except that baseline TFLs were slightly shorter and naloxone seemed to decrease analgesic effect of testosterone in AF, though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66kDa Western bands were detected in all 5 regions. Optic density(OD) of each area did not differ across 3 groups, except that OD of ER α In the thalamus in AF was lower than in CF. Percent OD of a region to sum of the 5 areas(O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alamus and nucleus raphe magnus. CF showed higher OD% in the thalamus than in CM and AF, and lower OD% in nucleus raphe magnus than in CM and AF. Western bands profile of AF did not differ from that of CM.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pain response patterns and the expression of ER α in the pain control areas of CNS are grossly similar between androgenized female and control male mice.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2 | 0.62 | 0.8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 | 0.64 | 1.34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