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문학 : 중국문학이론에 나타난 “적변(適變)”과 “회통(會通)” 관점 고찰 -문심조룡(文心雕龍)을 중심으로- = Literature : The study of adequate change and realization viewpoint -depending 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8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5-118(24쪽)
제공처
‘고전’은, 어법과 표현 방식이 다르고 사고체계나 환경이 달라진 시대에서도 여전히 사람들로부터 추앙받는다. 본 논문은 ``고전’이 어떻게 시대를 거듭하며 그 가치가 지속될 수 있는가라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중국문학 이론사에서 고전으로 평가되는『文心雕龍』을 중심으로 중국문학이론에 나타난 ``適變’과 ``會通’, ``重本’의 관점을 살펴보았다.``適變’이란 객관적이고 냉철한 시각을 가지고 시대의 흐름과 요구를 이해하고 이에 맞게 적절하고 융통성 있게 변화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유협은『문심조룡』에서 과거부터 그 당시까지의 문학상을 서술하여 자신이 ``당대를 바라보는 눈’을 갖추고 있었음을 드러내었고, 근본이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는 전제하에 문학도 사고방식도 적절하게 변화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는 시대에 맞는 적절한 변화야말로 살아있는 소통의 창구임을 깨달을 수 있다. ``會通’이란『漢語大詞典』의 해석에 따르면 “融會貫通”이라 할 수 있다. 역대로 전승되어온 선현들의 체험과 학문을 ``融會’하고, 자연의 物色과 사람의 情을 다하여 하나(一)로 ‘貫通’하는 것, 외재의 잡다함 속에서 근본적인 본질 하나를 깨닫는 것이 바로 ‘회통’이라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회통’이란 단지 지식의 체득으로 인한 깨달음이나 그로 인한 변화와 혁신의 개념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이것과 저것, 나와 타자, 과거와 현재의 다름 속에서 어떤 공통되는 본질을 체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 본질을 체득하고 그 근본을 중시하는 것, 그것이 바로 ‘重本’의 개념이다. 유협의 견해에 따르면 그 근본은 ‘眞’과 ‘正’이라 할 수 있다. 유협은 ‘참되고 올바른 도리’, 眞正性이야말로 고전이 간직하고 있는 ‘근본’이며, 그것이야말로 당대를 넘어 ‘시대성’을 띠는 핵심 요인이라고 보았다. 우리는 이 시대에 맞는 ‘적절한 변화’와 ‘본질의 깨달음’으로, 그리고 근본을 중시하는 眞正性을 갖춤으로서, 우리가 살고있는 이 시점이 인류의 문화를 긍정적으로 형성하는 한 역사의 장이 되기를 희망한다.
더보기Classic literature is still respected over the period though it have different grammar and expression according to changing age. This thesis is derived from question that Classic literature can have its value over the period. I investigated Wenxindiaolong estimated Classic literature and tried to study adequate change, realization, concentrating on basis. Adequate change is that we understand the stream and need of age objectively and change them adequately. Realization is that we accept our forefather`s experience and science widely that relize their common point in various things. Concentrating on basis is to think much of its origin. According to Yuhyeop` opinion, its origin is truth and rightness. we can see that value over the period is true and right reason. We can change our world, can relize its essence, can have truth thing much of its origin. Therefore we hope that this time can form our civilization affirmatively.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