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기록문화재를 통한 조선시대미술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특집 : 조선 전반기 불화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 A Study on Icons in Buddhist Iconic Paintings during the Early Chosun Dynas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DC
6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23-262(40쪽)
제공처
소장기관
The early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1392-1608) promoted the Confucianism based on Neo Confucian Philosophy as the highest governing ideology while suppressing Buddhism. Despite such a governmental policy, however, Buddhism had a chance of revival thanks to the protection and advocacy of Buddhism by individual believers, in particular, those from the royal family. In that situation, the Buddhist art circle in the 16th century also rode a new wave of prosperity as many Buddhist paintings were created under the sponsorship of the royal family. As a large number of Buddhist paintings were drawn under the sponsorship of ordinary people and the royal family during the 15th and 16th centuries in the Chosun Dynasty, the themes of paintings were also diversified from iconic paintings to Avalokitesvara paintings. Ksitigarbha paintings, guardian paintings, illustration paintings, Amita-raja paintings, Big Dipper paintings, Three Bodhisattvas paintings, and Arahat paintings. Among such a variety of themes, iconic paintings with the date of creation known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we examined the background, form. icons and style characteristics of such Buddhist paintings. According to the results, Buddhist iconic painting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were created mainly as objects of worshipping,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First, the creation of Buddhist iconic paintings was promoted by policies for reviving Buddhism, prayers for the peace of the royal family by court women including queens and concubines, royal kin`s personal faith, and belief in Buddhist scriptures. Second, the forms of screen composition were diverse from Triad paintings to mass paintings. Third, included figures and icon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form of iconic painting. Fourth, each Buddhist iconic painting showed characteristic screen composition, the shape of figures, stroke and color. Summing up, this study is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it found that many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early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were created under the sponsorship of the royal family, and as a result, they inherited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Koryo Dynasty such as well-organized composition concentrating the viewers attention, comfortable and harmonious form, elegant and vigorous strokes, and subtle color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