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불교문학의 연구현황과 과제 = Progress on the study of Buddhist literature, and its future task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韓國佛敎學(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97-1043(47쪽)
KCI 피인용횟수
4
제공처
In celebration of its 40th anniversary, the Korean Association forbuddhist studies held autumn symposium with topic of "40 year studyof Korean buddhism, its Achievements and assignments". this paper isa supplemented version of "Progress on buddhist literature studies andfuture tasks" presented in the symposium.
This paper will focus on current progress of Buddhist literature,its achievements and issues to be solved. Main contents for this paperare as follows:First topic will be definition of buddhist literature and currenton-going studies. Here, the three broad perspectives on buddhistliterature will be discussed. Meaning of Buddhist literature, categoryand as Korean literature. Also, current progress of Buddhist literaturewill be mentioned. Second topic to be discussed is current progress anddifferent types of approaches toward Buddhist literatures. Maincontents to be discussed here is different types of approaches towardcurrent studies, list of dated progress and achievements, and also trendof international research and unsolved issues. Also, in order to aid theoverall understanding of current development of study, time rangebetween 1950~1990 and 1991~2013 are labelled as 1st and 2nd periodrespectively, and each of the period has been further classified per eraand per key historical figure. Based on this, achievements so far andissues to be debated has been suggested. For the study trend of theworld, achievements and future goals are mentioned based on the cases from Japan, China, Germany, and USA.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could be noticed that, since theinterest on the essence of Buddhist literature or the relationship betweenbuddhism and literature has arisen, studies and debates on the topichas shown significant increase in quantity. However, quite a largeproportion of this area still remain untapped due to the lack ofacademic interest. Especially in-depth study on translated Buddhistcanonical literatures (sūtras), annotations on sūtras, and tales linkedwith sūtras are one of the assignments awaiting to be solved. Whensuch assignments are examined and inquired into by professionalscholars, Buddhist literature will always remain with us as the livingmessage of buddha.
한국불교학회는 2013년 올해로 창립 4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불교학 40년, 그 연구 성과와 과제’라는 대주제를 가지고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본 논문은 이 학술대회에 발표한 ‘불교문학의 연구현황과 과제’를 수정 보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논의의 범위를 그동안 불교문학의 연구 현황과 성과, 과제를 소개하는 데 그 의의를 둔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첫 번째로 다룰 주 내용은 불교문학의 정의와 연구현황 개관이다. 여기서는 크게 3가지 측면인 불교문학의 의미, 범주와 국문학에서 분류한 불교문학, 그리고 지금까지 불교문학의 연구현황개관과 성과에 대하여 살폈다. 두 번째로 언급할 주 내용은 불교문학의 연구현황에 대한 접근방법과 연구 성과 및 과제이다. 여기서 중점적으로 다룰 주 내용은 연구현황에 대한 접근방법, 시기별 연구 현황과 성과, 그리고 해외의 연구동향과 앞으로의 과제이다. 또한 세부적으로는 전체적인 불교문학연구현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 시대를 1950부터 1990년까지를 1차시기로, 1991년부터 2013년 현재까지를 2차시기로 구분하여 시대별, 인물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것을 토대로 그동안의 연구성과와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해보고, 또한 해외의 연구동향은 일본과 중국, 독일,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현황과 연구 과제를 언급하였다.
그 결과 불교와 문학의 관계나 불교문학의 본질에 관해서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이래, 그동안 불교문학에 대한 논의가 양적으로 상당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어왔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문적 관심이 주어지지 않아 아직까지 미개척지로 남아 있는 영역도 의외로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불전의 번역문학과 불전주석문학, 그리고 불교경전을 연계로 한 문헌설화에 대한 연구와 불교문학비평연구는 불교문학의 과제라고 하겠다. 그러므로 이러한 과제들이 전문적인 연구자에 의해 학문적 연구와 연계될 때 불교문학은 살아있는 붓다의 메시지로써 우리 곁에 항상 머물러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7 | 0.27 | 0.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5 | 0.34 | 0.743 | 0.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