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임진왜란시기 일본의 병량미 보급과 그 정책 : 제1차 침략전쟁의 초기를 중심으로 Focusing on the Early Stage of the First Invasion War = Japanese Supply Policies of Military Provision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壬辰倭亂)
저자
이종봉 (부산대학교 사학과)
발행기관
釜山大學校 韓國民族文化硏究所(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5.0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5-94(30쪽)
제공처
소장기관
This article investigates into the Japanese supply policies of military provision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Imjin Year(壬辰倭亂), most notably in the early stage of the First Invasion War. The findingsof investigations are as follows.
First, Japanese armies sought to supply the provisions on the spot by means of pillages centering around Daimyo(大名) before long after they had invaded into Chosun with a certain amount of provisions. These actualities can be discerned by examining closely the documents such as Chosunkukjosecheop.
Second, even though Janese armies had taken the policies of self-subsistence of the spot, as we have noted above, they changed their policies into supply of provisions from Japna proper, when the war situation had grown worse over time.
Third, Toyotomi's government prepared the munitions of war, getting ready the military provisions for six months, approximately 300,000 sŏk(石), in Japan. This volume could probably support 160,000 soldiers for six months. However Japanese armies ceased to supply the provisions from Japan after war broke out, and then they resumed the supply policies from Japan in the latter half of Munrok(文祿) Year one(1592), when the struggles of loyal troops had disturbed the supply of provisions in Chosun.
Forth, Toyotomi's government carried out the transportation of military provisions from Japan to Chosun on its own level owing to worsening the war situation. On the other hand, each Daimyo tried to transport the provisions for itself respectively.
Fifth, this article investigates only the early state of Japanese Invasion, enven if the question the supply of military provisions by Toyotomi's government have to be answered in connection with whole process of it.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