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특수소비자거래에서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iability for Damages in Special Consumer Transaction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1-135(35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비자가 재화등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 중 특수거래 방식의 비중이 증대되고 있지만, 이와 함께 사업자의 위법행위로 인한 소비자피해도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특수거래 분야에서의 소비자보호를 목적으로 제정된 특수거래 3법은 사업자의 위법행위를 규율하면서도 그에 대한 사법적 효과인 손해배상책임에 대해 규율하지 않음으로 인해 소비자가 효과적으로 피해구제를 받을 수 없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반면에 소비자의 대금미지급과 같이 채무불이행 등으로 인해 사업자가 손해를 입는 경우도 존재하며, 과도한 소비자의 손해배상책임부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수거래 3법에서는 이에 관한 특칙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그 내용은 소비자의 채무불이행 등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을 충분히 규율하고 있지 않으며, 역차별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사업자의 위법행위로 인해 발생한 손해에 대해 효과적으로 배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사업자도 소비자의 책임있는 사유로 인해 발생한 실손해에 대해 적정하게 배상받을 수 있도록 특수거래 3법은 다음과 같이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소비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방안이다. 특수거래 3법에서는 사업자의 손해배상책임에 대한 특칙을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는 손해배상을 청구할 때에 사업자의 고의 또는 과실을 증명하지만, 이를 증명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사업자의 위법행위로 인해 발생한 손해에 대해 소비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배상을 받을 수 있도록 사업자의 위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여 사업자의 고의 또는 과실에 대한 증명책임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그 다음으로 특수거래 3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소비자의 손해배상책임제한에 관한 규정의 개선방안이다. 첫째, 적용범위를 보다 명확히 규정함과 더불어 그 유형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소비자의 금전채무불이행의 경우에 지연배상금 또는 전보배상금의 산정기준은 사업자에게 적용하는 손해배상금 산정기준에도 적용하여 양자간 차등의 문제를 해결한다. 셋째, 소비자의 책임있는 사유에 의한 계약해제 중 공급된 재화가 사용된 후 반환된 경우에 사업자에게 발생한 실손해(계약체결 및 이행에 소요된 비용 등)에 대한 배상책임을 명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증명책임을 사업자에게 부과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The proportion of special transaction methods among the ways in which consumers sign contracts for goods, etc., is increasing, but consumer damage caused by illegal activities of business operators is also increasing. However, the 3 Special Transactions Act, which was enact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consumers in the field of special transactions, focuses on resolving consumers’ voluntary contracts, such as the right to withdraw an offer,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consumers cannot effectively receive damage relief due to regulating the operator’s illegal activities while not regulating the liability for damages, which is a judicial effec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ases in which business operators suffer damage due to default, such as consumers’ non-payment of payments, and the 3 Special Transactions Act stipulates special rules for this to solve the problem of excessive consumer liability for damages. However, the contents do not sufficiently regulate the liability for damages caused by consumers’ default, and limit the liability without a reasonable reason, causing the problem of reverse discrimination. Therefore, the 3 Special Transactions Act should be amended as follows so that consumers can effectively receive compensation for damages caused by business misconduct and business operators can properly receive compensation for actual damages caused by consumers’ responsible reason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regulation on liability for damages caused by business misconduct so that consumers can more effectively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s caused by business misconduct, and to convert the burden of proof of business intention or negligence as stipulated by the Fair Trade Act. Next, it is a plan to improve the regulations on the restriction of consumers’ liability for damages stipulated in the 3 Special Transactions Act. First, it is necessary to more clearly define the scope of application and subdivide the type. Second, in the event of a consumer’s default on monetary debt,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delayed or transferred compensation are also applied to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damages applied to business operators to solve the problem of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ird,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liability for actual damage (expenses incurred in signing and implementing a contract) to the business operator when the supplied goods are returned after being used during contract cancellation due to responsible reasons for consumers, and to impose proof responsibility on the business operator.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