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덤 부장품으로 살펴본 낙랑군의 교역 양상 검토 -평양 석암리 9호분 출토품을 중심으로 = Examination of Nangnang Commandery Trade through Tomb Burial Goods -Focusing on artifacts excavated from Seogam-ri Tomb No. 9 in Pyongyang
저자
이나경 (국립춘천박물관)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38(34쪽)
제공처
소장기관
Various kinds of artifacts from the Han Dynasty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tombs of the Nangnang commandery(樂浪郡), which are concentrated in the
Pyongyang area. Seogam-ri Tomb No. 9, the major tomb in the area, yielded
gold belt buckles, lacquerware with inscriptions, various horse trappings,
weapons, and vessels for everyday use. Based on the type and quantity of the
burial goods, the tomb was considered to be that of the governor-general of
Nangnang. That is, as a result of emphasizing the political fact that Nangnang
was a commandery of the Han Dynasty, the Han items discovered in Nangnang
have been perceived as items endowed by the Han from the Central Plain
(Zhongyuan). From the 1950s, however, excavations of Han tombs in China
greatly increased in number, providing the conditions for objective comparison
and examination of the location of artifacts excavated from Nangnang tombs.
Some bronze and lacquerware items excavated from Seogam-ri Tomb No.
9 were compared with materials from China, an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work out the different production sites and routes of introduction to
Nangnang according to type. That is, by examining archaeological materials
and the writing on bamboo tablets it was possible to deduce the trade routes
used to transport to the Nangnang commandery bronze items produced in the Lingnan(岭南) region of china and items made at the government offices
of the Shu commandery (Shujun, 蜀郡) through their respective distribution
networks via coastal routes linking Jiangsu Province, which seems to have been
a collection center, to Shandong Province and the western part of North Korea.
However, these presumed trade routes are just part of the many routes
that existed at the time. To restore those trade routes more accurately, it is
necessary to closely compare the Nangnang tomb artifacts with items excavated
from Han tombs in China and estimate the different trade routes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items.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go further than
drawing lines on a map to represent those trade routes more accurately only
when research is conducted on why the items concerned were brought to the
Nangnang reg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