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적 듣기의 수업 모형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5-169(25쪽)
제공처
의사소통은 인간의 삶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기에 효과적인 의 사소통을 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 역시 중요하다. 특히 인간성이 상실되고 있는 현대사회는 의사소통으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하고, 인간관계를 원만하게 하는 화법교육을 필요로 한다. 그러한 교육의 일환으로서 공감적 듣기는 판단하지 않고 상대방의 관점에서 공감해주고 격려하며 적절하게 반응하는 적극적인 듣기 방법으로, 현대사회에 꼭 필요한 대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계 중심적 듣기에 해당하는 공감적 듣 기의 개념을 살피고 교육 원리를 설정하여 공감적 듣기의 수업 모형 및 그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먼저 관계 중심적 듣기로서 공감적 듣기는 언어적 메시지의 정확한 수용 과 이해와 같이 언어 중심적 듣기가 아닌 무엇보다 청자의 듣기 태도와 자 세가 중요한 듣기이다. 또한 의사소통 과정에서 정확한 의미 및 감정을 인 지하려고 노력하는 적극적인 듣기이자 수용과 이해 중심의 듣기이며, 적극 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능동적인 듣기이다. 이러한 공감적 듣기의 개념을 바탕으로 교육원리를 ‘인간 존중의 정신과 언어 사용’, ‘수용의 태도 및 배 려의 자세 함양’, ‘공감적 듣기 지식의 내면화’, ‘실제 맥락에서의 듣기 활동 수행’으로 제시하였다. 교육원리에 따라 본고에서 제안한 공감적 듣기의 수업 모형은 ‘깨닫기’, ‘수행하기’, ‘내면화하기’의 세 단계로 구성되며, 실제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전략을 함께 제시하였다. 깨닫기 단계는 학습자가 공감적 듣기의 필요성에 대해서 자각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공감적 듣기의 지식을 습득하는 단계이다. 수행하기 단계는 학습자의 삶의 맥락이 반영된 공감적 듣기의 과 제를 제시하고 이를 수행하는 단계이며, 내면화하기 단계는 수행 결과를 바 탕으로 학습자가 자신의 듣기 태도를 성찰하고 조정하는 활동과 조정된 공 감적 듣기의 지식 및 태도를 내면화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화법교육은 ‘언어’가 아닌 ‘인간’이 중심이 되고 학습자의 듣기․말하기 능력의 신장에 기여하며 삶을 풍요롭게 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 연구 는 관계 중심적 듣기로서 공감적 듣기 교육의 중요성을 고찰하여 그 교육 원리를 설정하고, 학습자의 공감적 듣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수행 중심의 공감적 듣기 수업 모형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Communication is an important element to determine the quality of human life. So it is also important to educate how to communicate. Especially, losing humanity, modern society requires speech education to resolve conflicts caused by communication and to smooth human relationships out. As part of that education, empathic listening is to empathize from an opponent ’s perspective, to encourage and to react properly and is a really necessary communication technique for moder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empathic listening instructional model and strategy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empathic listening, which belongs to relation-centered listening and setting the educational principles. Firstly, for empathic listening, as relation-centered listening, accurate acceptance of linguistic message and listener ’s listening attitude and behavior are important more than language-centered listening. Besides, this is aggressive listening to try to recognize accurate meaning and emotion in communication, acceptance and understanding-centered listening and active listening to provide aggressive feedback. Based on this concept of empathic listening, the educational principles were classified into ‘spirit of human respect and language use’, ‘development of attitude and behavior for acceptance’, ‘internalization of empathic listening knowledge’ and ‘execution of listening activities in a real context’.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principles, the instructional model of empathic listening devised by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stages; ‘realizing’, ‘executing’ and ‘internalizing’ and a strategy, which can be applied to a real instruction, was suggested together. The stage of realizing is to realize the necessity of empathic listening and to acquire knowledge of empathic listening. The stage of executing is to present an empathic listening task, which reflects the context of learner ’s life and to execute this. The stage of internalizing is reflect on and adjust learner’s listening attitude, based on the execution result and to internalize adjusted empathic listening knowledge and attitude. Speech education must be ‘human’-centered, not ‘language’-centered and help in enriching life by contributing to improvement in learner’s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empathic listening as relation-centered listening, setting the educational principles and suggesting an execution-based empathic listening instructional model for enhancing learners ’ empathic listening abilitie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