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치유자의 원형으로서 <바리데기> 서사무가 -황석영 소설 『바리데기』 속 ‘칠성이’ 캐릭터를 중심으로- = As the archetype of the healer, the shamanic of <Baridegi> -“Chilsung” in the Baridegi, Hwang Seok-young’s novel
저자
구형열 (건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48(44쪽)
제공처
본고는 서사무가 <바리데기>를 현대적으로 재창작한 황석영 소설 바리데기 속 바리와 칠성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치유자의 원형(原型)을 분석하고, 힐링, 치유가 화두(話頭)가 되고 있는 오늘날에도 의미가 있는 개념인 상처 입은 치유자란 어떠해야 하는지를 제시한 연구이다. 소설 바리데기 속에는 사람과 친숙하고 귀여운 동물인 ‘강아지’의 모습으로 형상화(形象化) 되어있는 ‘칠성이’라는 캐릭터가 등장한다. 이 글에서는 칠성이 캐릭터가 바리의 상처 입은 ‘내면아이’라고 보고, 바리 속 상처 입은 ‘내면아이’가 내적 성숙과 통합의 과정을 거쳐, 어떻게 경이로운 ‘내면아이’로 변화하고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본고에서 바리와 칠성이의 관계에 주목한 이유는, 서사무가 <바리데기>를 포함한 황석영 소설 바리데기의 주인공은 ‘버려짐’이라는 상처가 있는 인물이며, 이야기 속 주인공 바리는 이러한 상처를 효과적으로 치유하여 상처 입은 치유자로 거듭나고 있는 모습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태어나자마자 버려졌다는 것은, 존재 자체가 부정되는 큰 ‘상처’라고도 볼 수 있는데, 바리는 나면서부터 버려진 큰 ‘상처’를 겪고도, 이러한 ‘상처’에 매몰되지 않고 오히려, 칠성이라는 존재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기 ‘상처’를 치유하고, 할머니의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는 진정한 치유자로 거듭나는 큰 성취를 보이고 있다.
본고에서는 바리와 칠성이의 상호작용이 결과적으로 진정한 치유자의 모습인 할머니의 모습으로까지 변화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헨리 나우웬이 그의 저서 상처 입은 치유자에서 제시한 ‘상처 입은 치유자’라는 개념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칼 구스타프 융(Jung)이 제안한 ‘내면아이’의 개념을 칠성이 캐릭터에 대입(代入)하여 분석하였다. 바리의 ‘내면아이’라고도 볼 수 있는 칠성이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바리가 자기의 상처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며 상처를 치유하여 진정한 치유자인 ‘상처 입은 치유자’로 거듭나는 과정을 위 개념들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상처 입은 내면아이가 상처 입은 치유자로 거듭나는 과정에서 중요한 두 인물인, 할머니 캐릭터와 칠성이 캐릭터의 차이점에도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칠성이는 바리가 키우는 반려견으로, 바리와 동일한 ‘유기(遺棄)’의 상처가 있는 캐릭터이다. 칠성이는 귀엽고, 밝고 명랑한 이미지로 친숙하게 바리와 상호작용하는 캐릭터로 그려진다. 반면에 할머니는 바리를 돌봐주기는 하지만 처음부터 바리에게 무조건적인 사랑을 준 것은 아니었다. 할머니는 바리에게 직접적인 말을 통해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이러한 할머니의 모습은 칠성이와 바리의 관계보다는 다소 거리감이 있고 딱딱한 관계라고 보았다. 본고에서는 황석영 소설 바리데기에서 강조한 칠성이 캐릭터가 서사무가 <바리데기>에 비해, 삶의 고통과 어려움이라는 무거운 주제의식을 보다 친밀하고 밝게 풀어내기 위한 작가의 의도라고 분석하였다.
치유, 힐링이라는 것이 키워드로 부각되고 있는 요즘, 고전문학 작품에서 말하고 있는 진정한 치유자의 원형(原型)은 어떤 모습인지를 조명한 것은 오늘날에도 유의미한 치유자란 어떠해야 하는지를 들여다 볼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세상에 나고 살면서 상처 입지 않은 사람은 없는 것처럼, 상처 입은 자가 다른 상처 입은 자를 치 ...
This paper analyzes the original form of a healer,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ri and Chilsung in Hwang Seok-young’s novel Baridegi, which modernly recreates Baridegi, and suggests what a meaningful wounded healer should be like even today, when healing and healing are becoming a hot topic. In the novel Baridegi, a character named Chilsung appears, embodied in the form of a puppy, a human-friendly and cute animal. In this article, Chilsung sees the character as Bari’s wounded “inner child” and intensively analyzes how the wounded “inner child” in Bari is transforming into a phenomenal “inner child” through the process of internal maturity and integration.
The reason why we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Bari and Chilsung in this paper is that the protagonist of Hwang Seok-young’s novel Baridegi, including the shamanic of <Baridegi>, is a character with a wound called “abandoned”, and Bari, the protagonist in the story, is effectively healing these wounds and being reborn as a wounded healer. Abandoned right after birth can also be seen as a great “hurt” in which existence itself is denied, and Bari is not buried in these wounds from birth, but rather, heals himself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existence of Chilsung and is showing great achievement in being reborn as a true healer expressed in the form of a grandmother.
In order to effectively analyze the process of changing the interaction between Bari and Chilsung to the appearance of a grandmother, who is a true healer, in this paper, Henri Nouwen used the concept of a “wounded healer” presented in his book The of Wounded healer. And the concept of “inner child” proposed by Karl Gustav Jung was substituted into the Chilsung character and analyzed.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Chilsung, which can also be seen as Bari’s “inner child,” the process of Bari being reborn as a “wounded healer” by looking at his wounds objectively and healing them was analyzed using the above concepts.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andmother character and the Chilsung character, two important characters in the process of the wounded inner child being reborn as a wounded healer, was noted and analyzed. Chilsung is a dog raised by Bari and is a character with the same wounds as Bari’s ‘遺棄’. Chilsung is depicted as a character who familiarly interacts with Bari with a cute, bright and cheerful image.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grandmother takes care of Bari, she did not give Bari unconditional love from the beginning. The grandmother helps Bari through direct words, but this grandmother’s appearance was seen as a somewhat distant and rigid relationship rather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sung and Bari. In this paper, it was analyzed that the Chilsung character emphasized in Hwang Seok-young’s novel Baridegi was the author’s intention to unravel the heavy theme consciousness of pain and difficulties in life more friendly and brighter than the shamanic of <Baridegi>.
These days, when healing and healing are emerging as keywords, shedding light on what a true healer’s prototype is like in classical literature works allows us to look into what a meaningful healer should look like even today. Furthermore, just as no one in the world has been born and lived unscathed, the enlightenment of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wounded into the existence of healing the other injured can also be seen as meaningful to the injured and those who are contemplating what to do with the healer.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