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결정자를 위한 환경영향통합평가(LCIA) 기법의 비교 연구 = Comparison of LCIA(Life Cycle Impact Assessment) Approaches for Decision Maker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25.05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29(25쪽)
제공처
소장기관
본 연구는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LCIA방법에 대해서 다양한 측면에서 특징과 장단점 등에 대해서 분석했다. LCIA기법에 대해 비교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말점의 수와 다양한 단위는 의사결정자에게 화폐단위 또는 DALY와 같은 통합된 피해지표보다 유용성이 떨어지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둘째 단일지수가 중요하고 피해수준 모형이 영향평가 프로세스에 유용하지만 의사결정을 할 때 전적으로 피해모형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 셋째 LCIA모형의 사용자는 어떤 하나의 모형을 선택하기에 앞서 그 역사와 이러한 배경과 각 방법에 관한 잘 알려진 정보에 관해 사전 검토해야 한다. 종합하면 LCIA사용자는 자신들의 목적에 가장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법을 결정할 때 다양한 요인들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더보기The concept of Life Cycle Thinking (LCT) and the related quantitative tool Life Cycle Assessment (LCA) are scientific approaches that increasingly used in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monitoring of environmental policies globally, and in the private sector for continuous environmental improvement, strategic decision support and as a basis for external communication. In a Life Cycle Assessment, the emissions and resources consumed that can be attributed to a specific product are compiled and documented in a Life Cycle Inventory. An impact assessment is then performed, considering human health, the natural environment, and issues related to natural resource use. The impact assessment phase of Life Cycle Assessment (LCA) has received much criticism due to lack of consistency. To address this lack of consistency, there is currently an effort underway to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for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LCIA) and a recommended practice to include a list of impact categories, category indicators, and underlying methodologies.
This paper provides a background analysis of existing methods used in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It helps to identify differences and to select methods and models for more in depth evaluations. Especially, the study focuses on the mandatory steps of class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the other two LCIA elements, normalization and weighting. In addition to providing a critical analysis of existing and emerging impact assessment approaches, this paper will formulate a structured representation that allows more informed selection of approaches. Finally, a discussion of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displaying results at various stages in the environmental models will be presented in great detail.
Key Words : Life Cycle Assessment (LCA),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LCIA), Life Cycle Thinking (LCT)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