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30년대 초반 조선일보사 내적 파동과 안정화 과정— 내부 구성원의 동향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Internal Agitation and Stabilization Process of Chosun-Ilbo in the early 1930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3-262(30쪽)
제공처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nal turbulence and stabilization process of the Chosun-Ilbo in the early 1930s, focusing on the trends of its internal members, in order to identify one of the triggers of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press in the colonial period.
From the late 1920s to the early 1930s, the Chosun-Ilbo experienced continuous business difficulties, which led to conflicts between employees and management. However, in the aftermath of the crisis, when the publishing rights were transferred to Lim Kyung-rae in June 1932, the headquarters employees and local bureau chiefs united against Lim Kyung-rae under the ‘rationalism’. This united front was possible because there was a shared perception among the internal members that the head of a daily newspaper in colonial Korea should have a right personality and ability. Later, when the Dongwoohoe family took over the management of the Chosun-Ilbo through the efforts of Ahn Jae-hong and other former executives, the more rationalistic employees were able to remain within the organization.
However, in March 1933, the issue came to a head again when the employee association, led by the Gansa-Hoe, submitted a “no-confidence motion” against the Dongwoohoe-affiliated executives and investors such as Bang Eung-mo and Ko Il-cheong. Again, the Gansa-Hoe argued that Bang Eung-mo and Ko Il-cheong were not appropriate to head the newspaper. But unlike in June 1932, the mood of the other employees and local bureau chiefs was in favor of Bang Eung-mo, who had a strong capital base and could stabilize the management. In June 1932, most of the members had formed a common front based on rationalism, but by March 1933, with the exception of the Gansa-Hoe, most of them had chosen utilitarianism.
Eventually, when the rights to the Chosun-Ilbo were returned to Bang Eung-mo, most of the employees who opposed Bang Eung-mo with rationalism left the company. The stabilization process of the Chosun-Ilbo in 1933 was a triumph of ‘utilitarianism,’ and the subsequent changes in its composition were a prerequisite for ‘commercialization’ and the weakening of the paper in the future.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