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필연성과 오류가능성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09-132(24쪽)
제공처
소장기관
‘물은 H₂O이다’라는 명제는 필연적인 명제이기 때문에, 물이 H₂O가 아닌 상황은 불가능하다. 그렇지만 물이 H₂O가 아닌 것으로 밝혀지는 상황도 충분히 상상 가능하다. 그렇다면 불가능한 상황을 어떻게 상상할 수 있는가? 달리 말하면, 다음의 두 문장들은 어떻게 양립가능한가? (1) 물이 H₂O가 아닌 것은 불가능하다. (2) 물은 H₂O가 아닌 것으로 밝혀질 수 있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1)과 (2)의 양립 가능성에 대한 대표적인 제안인 크립키의 견해와 차머즈의 견해를 검토하고 왜 이 견해들이 만족스럽지 않은지를 보인다. 둘째, 이 문제에 대한 필자 자신의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한다. 크립키의 제안에 따르면, ‘물은 H₂O가 아닌 것으로 밝혀질 수 있었다’는 느슨하고 부정확한 진술이고, 이를 엄격 하고 정확하게 표현하면 ‘우리와 질적으로 동일한 인식적 상황에 있는 화자 집단이 물은 H₂O가 아니라고 말함으로써 참인 진술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가 된다. 그러나 ‘물은 H₂O가 아닌 것으로 밝혀질 수 있었다’는 주장은 질적으로 동일한 대역의 가능성에 관한 주장이라기보다는, 물은 H₂O라는 우리의 믿음의 오류가능성에 대한 주장으로 이해하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 차머즈는 ‘인식적 이차원 의미론’을 이용해 위의 퍼즐을 해결하고자 한다. 그에 의하면, (l)이 참인 이유는 ‘물의 2차 내포는 H₂O이다’가 필연적으로 참이기 때문에 성립한다. 반면에, (2)가 참인 이유는 ‘물의 l차 내포는 H₂O이다’가 우연적으로 참인 문장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차머즈의 이차원 의미론은 기술주의에 대해 제기된 크립키적 양상 논증의 문제를 극복하지 못한다.
필자의 견해에 따르면, (1)이 참인 이유는 ‘x는 물이다 → x는 H₂O이다’가 ‘물’의 의미를 부분적으로 구성하는 언어-언어 규칙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물이 H₂O라는 우리의 믿음은 오류가능하다. 예컨대, 우리가 거대한 과학적 음모의 희생자였고 사실은 물이 H₂O가 아니라 다론 화학적 구성인 XYZ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질 수 있다. 이럴 경우 우리는 위의 규칙을 포기하고, 대신 ‘x는 물이다 → x는 XYZ 이다’를 ‘물’의 의미를 부분적으로 구성하는 새로운 언어-언어 규칙으로 승인해야 한다. 그리고 이 경우 우리의 ‘물’ 개념은 변화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1)이 성립하는 이유는 현재의 ‘물’ 개념에 따르면 물이 모든 가능 세계에서 H₂O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2)가 성립하는 이유는 현재의 ‘물’ 개념이 변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Water is H₂O' is a necessary proposition, so that it is impossible that water isn't H₂O'. But it is conceivable that water isn't H₂O. How, then, can we conceive something impossible? In other words, how can the following two sentences be compatible? (1) It is impossible that water isn't H₂O. (2) It could have turned out that water isn't H₂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In the first place, I argue that the previous proposals such as Kripke's and Chalmers's are unsatisfactory. In the second place, I offer a new proposal.
According to Kriple, (2) is a loose and inaccurate statement, which can be made strict and accurate as follows: "It is possible that a population of speakers in an epistemic situation qualitatively identical to ours would make a true statement by uttering 'water isn't H₂O' with normal literal intent." But (2) isn't a statement about the possibility of speakers in an epistemic situation qualitatively identical with ours, but it is rather a statement about the fallibility of our belief that water is H₂O.
Chalmers wants to handle the above puzzle by appealing to his 'epistemic two-dimensional semantics'. According to his view, (1) is true because 'the secondary intension of water is H₂O' is necessarily true, whereas (2) is true because 'the primary intension of water is H₂O' is contingently true. But his broadly Fregean approach to meaning cannot overcome a Kripkean modal argument.
On my new proposal, (1) is true because 'x is water → x is H₂O' is a language-language rule, which is partially constitutive of the meaning of 'water'. But our belief that water is H₂O is fallible. For example, we might be victims of some shocking scientific conspiracy to the effect that water is XYZ rather than H₂O. If this scenario were true, we would have to abandon the above rule, and adopt 'x is water → x is XYZ' as a new language-language rule. In such a case, our concept of 'water' would undergo a change. In other words, (1) is true because water is H₂O in all possible worlds according to our current concept of 'water', whereas (2) is true because it is possible that our current concept of 'water' undergoes a chang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