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독일 통일 여론의 변화와 세대: 민주주의는 어떻게 통일을 이뤘는가? = Generations and Changes of Public Opinion on German Unification : Comparing the Perception of Korean Unification with the German Cas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99-341(43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독일에서도 시기에 따라 통일에 대한 국민의 여론이 변하고, 세대 간의 인식 차이도 있었을까? 독일 사회에서도 통일에 대한 여론이 변화했으며 세대 간 차이도 존재했다. 이 글은 독일에서 통일 여론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 최근 한국의 통일 여론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세대 간 의견 차이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했다. 먼저 서독에서는 냉전적 긴장과 대립이심했던 1960년대 안보 위협이 커지자 통일보다 평화의 우선순위가 높아지는 모습이 나타났고, 안보 위협이 해소되고 경제 불황이 발생하자 경제문제가 우선순위가 되었다. 다음으로 1990년대 통일된 독일에서는 통일이 가져올 이익이나 부담에 대한 여론, 통일 독일 정체성에 대한 여론에서 젊은 세대의 긍정적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즉, 독일에서도 안보 위협이나 경제 위기와 같은 국내외 상황의 변화에 따라 여론의 우선순위가 변화하고 세대 간의견차이가 커지는 시기가 있었다. 이를 토대로 한국의 최근 3년간 통일 여론 변화를 분석한 결과, 북한과 중국에 대한 위협인식이 증가하면서 민족주의적 통일 인식은 감소하고, 전쟁 위협을 없애기 위해 통일해야 한다는 의견이 증가했고 여기에 세대 간, 정치성향에 따른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통일의 이익이나 통일의 부담에 대해서는 세대차이보다는 소득 수준과 이념 성향 차이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최근 한국의 통일에 대한 여론의 변화와 세대간 차이는 독일의 1960년대와 같은 외적인 안보 위협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더보기Did public opinion about unification change over time in Germany, and were there differences in perceptions between generations? By analyzing 7 decades of changes in the public opinion of unification in Germany and comparing it with the recent changes in Korea, this article attempts to identify the causes of differences in opinion between generations. First, during the 1960s when Cold War tensions and confrontations were severe, security threat increased and peace was prioritized over unification. As security threats declined and economic recession occurred, economic issues became a priority instead. After the unification in the 1990s, public opinion polls on a unified German identity including the benefits and burdens brought by the unification reflected a lack of positive perception on this matter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Therefore, in German case, the public issue salience has changed in the context of security threats or economic crises,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of opinion appeared during the Unification process. Secondly, Public opinion shifts over the past three years in Korea similarly shows that threat perceptions from North Korea and China increased the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on the notion of unification as reducing the threat of war. Additionally, threat perceived from North Korea and China in turn increased the perception of a need to cooperate with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n Korea, however, the perception of the benefits and burdens of unification differed by the income levels and ideological orientation more so than generational differenc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recent generational differences in public opinion about Korean unification are similar to Germany’s case in the 1960s where external security threats were observed.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