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TV토론 보도와 정책선거: 제19대 대선토론 방송보도에 대한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 Broadcasting Reports of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s and Policy-Oriented Election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News Frames of the 19th Presidential Debate in Korea
저자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1-124(4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This paper explored the role of media in a policy-oriented election process by analyzing news frames and the reporting quality of the broadcast reports of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debate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main news reports on the presidential debates on KBS, MBC, SBS, MBN, TV Chosun, Channel A, and JTBC. The new reports most often employed the ‘war frame’ in reporting the presidential debates, although JTBC and Channel A employed the ‘debate evaluation frame’ most often and TV Chosun used the ‘issue frame’ most often. The ‘strategy frame’ that is often used by the US media in its reporting of political elections appeared the least frequently in Korean broadcasting media. The network TV stations used the ‘war frame’ more frequently than non-network TV channels, and public broadcasting stations used the ‘war frame’ more frequently than the private broadcasting stations, suggesting that people who watched the debates through TV news reports must have watched the debates through the lens of war, battle, and contest. The reporting quality of the TV debate news turned out to be quite low in terms of the amount and quality of policy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news reports and the level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reports. Also found was cynical and negative reporting that focused mainly on the candidates’ mistakes or weaknesses without rational evidence or ground. The quality of news reporting was the highest on JTBC and SBS and was the lowest on MBN and MBC.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ame and the reporting quality demonstrated that the reporting quality was higher both in terms of policy information and level of analysis in the reports using the ‘issue frame’ than in those using the ‘war fram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and arguments of previous scholars. Interestingly, policy information was non-existent when the news reports used the ‘policy evaluation frame,’ which was even less than those using the ‘war frame’ or the ‘strategy frame.’ Furthermore, the cynical and negative reporting was also most frequently found in the reports using the ‘policy evaluation frame’ over those using the ‘war frame’ or the ‘strategy frame.’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Korean broadcasting reports on presidential debates tend to evaluate and comment on the debates in a cynical and negative tone without supporting evidence or ratio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regarding how the broadcasting media currently report on presidential debates and how the media can improve their reporting in ways that can contribute to realizing policy-oriented elections.
더보기이 연구는 제19대 대선 후보 토론회에 대한 방송보도가 정책선거를 도모하는 데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살펴보기 위해 보도의 프레임과 보도 품질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KBS, MBC, SBS 등 지상파 방송사와 MBN, 채널A, TV조선, JTBC 등 종합편성 방송사의 메인 뉴스에서 TV토론에 대한 보도 175건을 분석한 결과, 국내 주요 방송사들은 대선 후보자들의 TV토론을 주로 전쟁 프레임을 사용하여 보도하고 있고 이슈 프레임과 토론평가 프레임, 토론전략 프레임으로 보도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이 드러났다. 방송을 통해 TV토론을 시청한 유권자들은 후보들 간의 공방, 공격, 설전, 난타전 등의 기본 틀로 토론을 시청한 것이다. 지상파 방송사가 종편 방송사보다, 그리고 공영방송사가 민영방송사보다 오히려 더 전쟁 프레임을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정보성, 분석의 심층성, 부정적・냉소적 비난보도의 차원에서 측정한 보도의 품질은 대체적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MBC와 MBN의 보도 품질이 낮은 반면 JTBC와 SBS의 보도 품질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보도 프레임과 보도 품질의 관계를 보면 선행연구에서 지적해 온대로 전쟁 프레임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이슈 프레임을 사용하는 경우의 보도의 품질이 월등히 높았다. 흥미로운 것은 토론평가 프레임을 사용하는 보도에서 정책정보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전쟁 프레임을 사용한 경우보다도 부정적・냉소적 비난 보도가 많이 나타나, 방송사들의 토론평가 보도가 상당 부분 근거 없는 비난과 냉소의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책선거를 위한 미디어 역할의 관점에서, 충분한 정책 정보와 이해를 갖춘 유권자들이 의사결정을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정책 선거의 실현에 대선토론 방송보도가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1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9 | 1.32 | 1.39 | 0.2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