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동화 『백설공주』에 나타난 관용표현 연구 = Zur Formen und Bedeutungenstruktur von Phaseologismen im Schceewittchen
저자
변명선 (청주대학교 인문대학 유럽어문학부 독어독문학전공)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1
작성언어
Korean
KDC
001.3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9-105(27쪽)
제공처
소장기관
Es scheint zum Wesen der Phraseologie zu geho¨ren, daß eine Klassifikation streng nach einem Kriterium, was methodologisch gesehen die sauberste Lo¨sung wa¨re, nicht zufriedenstellend sein kann. Daher akzeptiert man in der einschla¨gigen Literatur immer ha¨ufiger die struktursemantische Mischklassifikation. Diese beru¨cksichtigt semantische und morphosyntaktische Kriterien. Zusammenfassend ko¨nnen wir fu¨r unser Korpus der verbalen Phraseolexeme im wesentlichen folgende Klassifikationstypen auflisten: 1)VPL-Art-Sa, 2)VPL-pS, 3)VPL-Sn-pS, 4)VPL-Sa-pS, 5)VPL-Sn, 6)VPL/-Adj/Ad/-wie/als -Sub/pS/ par/Satz, 7)VPL-Sub/Adj/Adv und Sub/Adj/Adv
Idiomatizita¨t heißt, daß die Gesamtbedeutung der Phraseologismen nicht der Summe der Bedeutungen der einzelnen Wo¨rter, aus denen Sie bestehen, entspricht. Der Begriff "Motiviertheit" stellt eine Beziehung zwischen der wo¨rtlichen Bedeutung der Komponenten und der phraseologischen Gesamtbedeutung her. Hiernach ko¨nnen grob drei Verha¨ltnistypen von vollidiomatischen, teilidiomatischen und unidiomatischen Phraseologismen unterschieden werden.
In dieser Untersuchung geht es um hraseologische Wortverbindung. 『Schneeittchen』 zum Ausdruck bringen. : Zur Formen und Bedeutungenstruktur von Phaseologismen im Schneewittchen. Zusammenfassend ko¨nnen wir fu¨r 『Schneeittchen』 der verbalen Phraseolexeme im wesentlichen folgende Klassifikationstypen auflisten : 1)VPL-Art-Sa, 2)VPL-pS, 3)VPL-Sn-pS, 4)VPL-Sa-pS, 5)VPL-Sn, 6)VPL/-Adj/Ad/ -wie/als-Sub/pS/ par./Satz, 7)VPL-Sub/Adj/Adv und Sub/Adj/Adv
Sie finden hier 『Schneeittchen』, das alte scho¨ne Ma¨rchen der Bru¨der Grimm. Sie werden feststellen, daß viele lexikalische Einheiten, darunter auch die Mehrzahl der Phraseologismen, sitilistisch unangemesen eingesezt sind. Mit der Lexikalisierung einer phraseologischen Einheit meinen wir ihre Aufnahme und Speicherung im Lexikon, im Phraseolexikon. Unter Lexikalisierung wird die Eigenschaft der Phraseologismen verstunden, daß sie als Ganzes im Verlauf der Rede immer in der gleichen festen Form auftreten, unter der sie als Untereinheit von Lexemen im Lexikon gespeichert werde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