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의 정체성과 독립운동의 계승 = Korea's identity and the succession to the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9-255(27쪽)
제공처
이 글은 한국과 한국인의 정체성이 독립운동의 과정에서 형성되었음을 밝힌 것이다.
조선은 1897년 국제 사회에서 생존하기 위한 방도로서 대한제국 수립을 세계에 공표했다. 그와 함께 대한제국의 다른 이름인 한국 또는 대한국이란 명칭이 국권 주체로서 부상했다. 그러나 대한제국은 1905년 을사늑약에 의해 사실상의 주권을 상실하고, 1910년 대한제국은 끝내 멸망하고 말았다. 그렇지만 대한제국이 망했다 하더라도, 한국인의 정신과 혼마저 망실된 것은 아니었다.
망국 이후 해외 한인사회에서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려는 노력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그리고 독립운동계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한결같이 한국의 정체성을 발전시켜 나갔다. 박은식은 새로운 나라 건설을 위해 ‘민족의 혼과 얼’을 강조하면서 1915년 『한국통사』를 짓고, 신규식은 『한국혼』을 간행하면서 한국 독립운동의 정신을 밝혀 나갔다. 미주에서는 대한인국민회, 연해주에서는 대한광복군정부 등을 세워 한국인의 독립운동을 세계에 알렸고, 국내 독립운동계는 대한광복회와 같은 혁명단체를 만들어 민족혁명을 전개해 갔다. ‘대한’과 ‘한국’은 곧 독립운동의 상징 이자 정신적 뿌리를 이루어 나갔던 것이다.
1919년 3·1운동 때는 대한독립 만세를 외치고, 주권 독립을 달성하기 위한 독립 운동의 논리와 새롭게 건설할 독립국가의 이념과 방향까지 제시하고 있었다. 그리고 중국 상해에서 대한민국이란 국호를 선포할 수 있었다. 대한제국으로 망한 나라를 10년 만에 독립운동의 힘으로 대한민국을 세운 것이었다. 비록 영토와 국민적 요소를 채 갖추지 못했지만,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우리 민족의 주권 의지를 대표하는 것이었다. 임시정부의 수반과 지도자를 대통령, 국무총리라 명명한 것도 이때의 일이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나라를 잃은 상태라 부득이 국내가 아닌 해외에 세워야 했으나, 27년간 민족적 구심체로서 광복의 그 날까지 독립운동을 이끌어 나갔다.
반면에 식민지 통치체제에 놓인 국내에서는 ‘대한’, ‘한국’이란 이름은 사라져야 했다. 국권과 주권을 상징하는 ‘대한’, ‘한국’이란 용어를 일제가 철저하게 말살했기 때문이다. 대신 조선총독부를 비롯해 조선군, 조선은행 등 모든 식민기관은 물론 사회단체까지 ‘조선’으로 대체되었다. 국내에서는 1945년 광복까지 지상(地上)에서는 ‘한국’, ‘대한’, ‘한국인’이 존재할 여지가 없었다. 단지 일본 식민지 통치에 순응하는 ‘조선인’의 삶만이 강요될 뿐이었다. 그리고 수많은 ‘조선인’들이 ‘한국인’ 임을 망각한 채 ‘천황의 신민(臣民)’으로 길들여져 갔다. 그것이 식민지 ‘조선’의 현실이었다.
그러나 독립운동 단체는 어느 곳이라도 ‘한국’, ‘대한’, ‘한인’ 등을 명칭으로 삼아, ‘한국’, ‘대한’의 정신을 계승해 나갔다. 즉 ‘한국’, ‘대한’의 정신은 독립운동을 통해 계승, 발전되면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성은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으로 승계되어 갔던 것이다
In this article, I want to clarify that the Korean identity was formed in the course of the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In 1897 the Joseon dynasty made an announcement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Empire in world as a way of surviving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With this, alternative names of the Korean Empire, Korea or Great Korea (abbreviation of the Korean Empire) emerged as the subject of national sovereignty, however, the Korean Empire lost its real sovereign power by Eulsa Treaty (Korea-Japan Treaty of 1905) in 1905 and came to the ground in the end in 1910. But even though the Korean Empire perished, the Korean spirit and soul was not lost.
After Korea's ruination, various forms of efforts to build a new country emerged in Korean societies in many foreign countries. And the circles for Korea's independence at home and abroad constantly developed the Korea's identity. Emphasizing the soul and spirit of the Korean people to build the new country, Park, Eun-sik wrote “Korean history (Hanguktongsa)”. And publishing “Korean Soul”, Shin, Gyu-sik lit up the spirit of the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The organization of Korean National Associ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stablishment of Korean Liberation Army Government in Primorie, Russia let the world know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Korean people and the circle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at home formed revolutionary societies like the Korean Liberation Association and developed the national revolution. Daehan (Great Korea) and Korea became the symbol and the spiritual root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y made the Korean people shout the hurrah for Korea's independence at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and suggested the logic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by extension, the ideal and direction of the country which would be newly established. With them the name of the country, the Republic of Korea could be announced in Shanghai, China. The country under the name of the Korean Empire which perished could be established by the power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en years. Though the Korea's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didn't possess two requisites for the country, territory and people, it represented the will of the sovereign power of the Korean people. At that time they called the head and leader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president” and “premier”. Though the Provisional Government was established in the foreign country because of losing the country, it led the independence movement as the national central part for 27 years till the liberation of the country.
On the other hand, the names of “Korea” and “Great Korea” were disappeared
at home which was controlled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r because the Imperialist Japan thoroughly annihilated the terms of “Korea” and “Great Korea” which symbolized the sovereignty of a nation and national sovereign power. Therefore all names of institutions changed to Joseon instead of Korea like Joseon Governor-General, Joseon Army, Joseon Bank. At home till 1945 there was no room for “Korea”, “Great Korea” and “Korean”. Only the life of the Korean people that adapted themselves to the colonial rule of Japan was imposed. And lots of the Korean people were domesticated as the people of Japanese Emperor forgetting they were Koreans. That was the reality of colony.
But the circles for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named their organization as “Korea”, “Great Korea”, and “Korean” and succeeded the spirit of “Korea” and “Great Korea”, that is, the spirit of “Korea” and “Great Korea” was succeeded and developed through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legal tradi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was succeed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1948.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