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아동의 안전교육에 관한 인식 = (A)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safety education
저자
발행사항
전주 :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초등교육행정전공 , 2004. 8
발행연도
2004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KDC
372.42 판사항(4)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형태사항
iv, 53p. : 삽도 ; 26cm.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 47-48
소장기관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의 아동의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을 안전영역(학교안전·교통안전·생활안전)별로 안전교육에 대한 실천 정도를 변이별(지역, 주거지역, 성별, 학년별)로 조사 분석하여 학교 안전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목표를 선정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1. 아동의 학교 안전교육의 실태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조사한다.
2. 변인에 따른 안전영역별(학교안전·교통안전·생활안전)의 안전교육의 실천 정도를 조사·분석한다.
3. 안전영역간 상관관계를 명확히 하고 그 시사점을 찾는다.
연구방법은 전북지역의 초등학교 학생과 경기도지역 초등학교 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지역별, 주거지별, 성별, 학년별(5·6학년)로 무작위로 균등하게 나누어 안전에 관한 인식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설문지의 자료처리는 spss/pc^(+)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문항의 응답빈도로 백분율을 산출하거나, 5단계 평정척도에 나타난 수치로 χ^(2)검정, 평균(M),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변인별 비교분석은 t검정을 통하여 유의도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는 아동들은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에 있어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안전교육에 대한 수업은 보통이거나 재미없다고 하였고, 그 이유 중에 가장 큰 이유는 형식적인 수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안전교육의 시기는 야외학습이나 현장학습때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안전교육과 관련된 학예 행사는 연 1~2회가 많았고, ‘하지 않는다’는 비율도 다소 높게 나왔다. 안전교육에 대한 체험학습은 과반수정도의 학생이 체험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별로 학교 안전영역에 대한 교육의 실천 정도는 지역, 주거지역에 따라 안전영역(학교안전, 교통안전, 생활안전)에서 그 실천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주거지역에 따라 큰 실천의 차이를 보였다. 그렇지만, 성별이나 학년별에 의한 안전영역(학교안전, 교통안전, 생활안전)에서 그 실천정도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안전영역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안전영역 하위요인들(학교안전·교통안전·생활안전)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안전영역은 별개의 영역이 아니라 안전영역 하위요인들간 상호 영향을 받고 있어 학교 안전교육을 수업에 반영할 때 안전영역 하위요인이 모두 포함된 통합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ption on safety education and practice degree of variables(location, gender, grade) and safety area(school safety, traffic safety, life safety).
For attaining the purpos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
First, How do elementary school children perceive the actual condition of school safety education?
Second, How do elementary school children pratice the safety area(school safety, traffic safety, life safety) according to variables.
Third, are there correlated variables between safety areas.
A random sample was taken of 600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cities and rural communities around Jeon-Buk and Kyoung-Gi Do.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ile, X2 test, M and SD using SPSS/PC+ program.
According to this study findings, elementary school children recognize the necessity for safety education, but most students found to safety education is to be unimfereshing. The reason was that safety education was conducted formally. Safety education was conducted during outdoor activities and actual experience learning. Literary event of safety education reported to be conducted once or twice a year.
Second, with regard to safety practice of school safety area, practice degree of safety area(school safety, traffic safety, life safety) was varied in different localiti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nts of safety area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and grade.
Third, with regard to variables and safety area, the correlation was statistically signigicant with regard to school safety, there were relationship according to children's location and gender, With regard to traffic and life safety, results were influenced by children's location. Therefore, subordinate factor of safety area varies according to location.
additionally, with regard to correlation subordinate factors of safety area,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afety, traffic safety and life safet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