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발달장애인 부모 동료 상담가 교육과정 이수 부모들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초점집단면담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Perception and Needs of Parent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via Parent to Parent Peer Counseling Education: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s
저자
조윤경 (한국성서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유아특수교육연구(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1-60(30쪽)
제공처
This study was intended to know perception and needs of the parent to parent peer counseling educ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o support the younger parents to cope with disabilities of their children at the early stage. 6 parent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the focus group interview who finished the 10 sessions group education and individual in-depth course.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3 categories and 14 sub-themes were derived through qualitative-comparative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parents evaluated the parent to parent peer counseling educ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s giving the positive effects. But they wanted to get more professional contents on disabilities and technical skills on counseling. Second, parents perceived the parent to parent peer counselor as important agent to support the initial parents to accept their child’s disabilities and to live well as social community members. And they viewed the parent to parent peer counselor as omnidirectional supporter to all family member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 parents said they wanted to set up the center for the parent to parent peer counselor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t community and establish the system of early identifi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work there as staffs. Based on these results, proposals for putting the project of the parent to parent peer counselor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to practices were suggested.
더보기지역사회 내 장애 조기 발견을 위한 진단 후 어려움을 겪는 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장애인 부모 동료 상담가’ 10회기 집단 기본 교육과정과 개별 심화과정을 이수한 6명 부모들과 교육과정 및 동료 상담가 역할, 추후 실천 방향 등에 대한 초점집단면접을 시행하였다. 면담결과를 전사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 주제와 14개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교육과정 면에서, 현재의 교육과정도 만족스럽지만 실제 장애인 부모 동료 상담가로 활동할 때에 필요한 보다 전문적인 교육 내용 보완과 실제 상담 기술을 훈련할 과정과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둘째, 동료 상담가와 관련해서, 장애인 부모 동료 상담가는 발달장애인 당사자ㆍ부ㆍ모ㆍ형제․자매 등 장애인 가족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이 장애를 수용하고 사회에 참여하는 건강한 구성원이 되도록 가족 전체와 각 개인별로 전방위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중요한 존재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장애인 부모 동료 상담가가 지역사회에서 일할 수 있는 센터가 시범적으로 실제적으로 빠른 시기에 시작되기를 바라며, 이를 지역사회 내에서 안정화할 수 있는 방안과 장애 조기 발견 가족지원 시스템 구축과 장애인 부모 일자리 창출이라는 기대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실천할 방안들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수행되었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