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불심검문제도의 법률상 문제점과 개선방안 = Improvement of Legal Institutions and Issues of Police Stop and Ques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민간경비학회보(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ivate Securit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주제어
KDC
35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2-122(21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As one of the enforcement methods, "Police stop and question" is a system to prevent crimes and detect early, ruled in Law of Enforcement by police officers. Even though it can be fundamentally an arbitrary measure, police officers have performed much of their work through "Police stop and question".
However, when it comes to "Police stop and question", many problems about legal and operational issues have been posed. Because of it, police officers have difficulty in conflicting with citizens while enforcing law. As the first stage of the meeting between citizens and police officers, "Police stop and question" functions as a criterion to estimate the justice of exercising of public power in the society, placing the interface between governmental authority and human rights.
In other words, "Police stop and question" will need to be considered to have two objectives, which are the maintenance of the public order through prevention and suppression and guaranteeing human rights by legal process, at the same time. Theoretically, these two objectives are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in terms of "Police stop and question", but they are in a strained relationship conflicting at the contact point in reality. In order to reconcile these two objectiv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quirement, object and procedure of "Police stop and question" strictly by law. Moreover, the police officers who enforce the law have to make an effort to observe the law and put it in practice in the process of exercising public power.
This paper tries to focus on grasping the legal character of "Police stop and question" in the second chapter, examining the procedure of "Police stop and question" theoretically in the third chapter, and suggesting the legal problem and improvement plan of "Police stop and question" in the fourth chapter.
한국의 경찰관직무집행법 제3조에 규정되어 있는 불심검문은 경찰의 직무집행수단의 하나로서 범죄를 예방하고 조기발견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로 본질적으로는 임의처분이라 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경찰관들은 업무의 많은 부분을 불심검문을 통해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불심검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법적인 문제점과 운용상의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으며 이로 인해 경찰관들은 법집행 현장에서 시민들과 마찰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불심검문은 '시민과 경찰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최초의 단계로서 공권력과 인권의 접점에 위치하여 그 사회의 공권력행사의 정당성을 가늠하는 척도로서의 기능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즉 불심검문은 범죄의 예방과 진압을 통한 치안유지와 적법절차를 통한 인권보장이라고 하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불심검문에 있어서의 이 두 가지 목적은 이론적으로는 상호보완적인 관계이지만, 현실에 있어서는 접점에서 서로 충돌하는 긴장관계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다. 불심검문제도가 가지고 있는 이 두 가지 목적을 조화롭게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법률로써 불심검문의 요건, 대상, 절차를 엄격히 규정할 필요가 있으며, 공권력을 행사하는 과정에서 법을 집행하는 경찰관의 준법의지와 실천적 노력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제2장에서 불심검문의 법적 성격을 파악하고 제3장에서 불심검문의 절차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한 후 제4장에서 불심검문의 법률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8 | 0.38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6 | 0.504 | 0.1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