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외화 드라마 타이틀 로고의 국,영문 타이포그래피 아이덴티티 연관성 비교 분석-2012~2016년 국내 TV 방영된 영미(英美) 외화 드라마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English Typography Identities of Foreign Drama Title Logos-focused on English drama broadcasted on domestic TV from 2012 to 2016-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63-280(18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As entering the global era of content, the public's interest in foreign dramas, which had previously been difficult to access, has increased.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domestic broadcasters also actively imported content. As a result, viewers were able to easily access foreign dramas with Korean dubbing or subtitles on TV, and in the process, the Korean language-work of the foreign drama title logo was carried out. By focusing on the typographic characteristics of title logos generated through the conversion from English to Korean,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ir identities and to explore their relationships. The subjects and scope of the study include a total of 60 foreign dramas aired during the recent five years (2012-2016) when the audience ratings of KBS1, OCN, Channel CGV with active foreign drama content import started to rapidly increase. First, to analyze how the original typography re-designed with a certain visual relation to the original language, the formative elements such as serif, texture, color, proportion, slope, thickness, symbol were framed. Based on the framework, the study analyzed which formative elements were used, modified, or eliminated to maintain the visual relevance. According to the visual translation comparison analysis of the title logo so far, the result of the visual correlation was higher as the similarity of serif, proportion, slope, and thickness corresponding to formative elements correspondent with the original version.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he Roman alphabet and the Korean alphabet were deformed or dropped out due to limitations from structural differences. In such cases, the supplementary elements such as texture, color, etc. were utilized or the relation to the original was abandoned to emphasize the genre characteristi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to summarize the efficient typography design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diverse and complex formative elements used in the visual translation process of the foreign drama title logos and to increase the relevance.
더보기콘텐츠의 글로벌 시대로 들어서면서 예전에는 접하기 어려웠던 외화 드라마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졌고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국내 방송사에서도 적극적인 콘텐츠의 수입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한글 더빙 또는 자막이 포함된 외화 드라마를 TV를 통해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외화드라마 타이틀 로고의 한글화 작업이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영문으로 이루어진 외화 드라마의 타이틀 로고가 한글로 변환되며 발생하는 타이포그래피 특성에 대해 관심을 두고 아이덴티티를 비교 분석하여 연관성을 밝히고자한다. 연구의 대상과 범위로는 외화 드라마의 콘텐츠 수입이 활발한 채널인 KBS1, OCN, 채널CGV에서 시청률이 급등하기 시작한 최근 5년(2012~2016년)동안 방영된 외화드라마 총 60편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원제와 자국어 타이틀 로고 타이포그래피의 시각적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부리, 텍스처, 컬러, 비례, 기울기, 굵기, 심벌, 덧표현과 같은 조형 요소의 분석 기준을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어떤 조형 요소가 사용되고 변형되거나 탈락되는지를 분석한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타이틀 로고의 시각적 번역 비교 분석 결과, 원제와의 유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형태 요소에 해당하는 부리, 비례, 기울기, 굵기의 유사성이 유지되는 경우가 빈번히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로만 알파벳과 한글의 구조적 차이에서 발생하는 한계 때문에 변형되거나 탈락되는 경우도 눈에 띄었다. 그러한 경우 보조적인 요소인 텍스처, 컬러 등을 활용하거나 원제와의 연관성을 포기하고 장르 특성을 부각하는 방법도 사례를 통해 발견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비교 분석 결과는 외화 드라마 타이틀 로고의 시각적 번역 과정에서 활용되는 다양하고 복잡한 조형 요소를 파악하고 연관성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방법론을 정리하는 데 그 의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2-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34 | 0.512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