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시조창 가집을 통해 본 지방풍류 - 『무인』을 대상으로 = Local Pung-ryu(風流) Reflected Through Sijochang Song-book - Focusing on Muin
저자
김태웅 (안동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5-101(27쪽)
제공처
Until the mid-19th century, the prefaces of Sijochang(時調唱) in Song-book primarily included prefaces for Gagokchang(歌曲唱), followed by a few Sijochang(時調唱). However, by the late 19th century, Sijochang(時調唱) gained immense popularity among commoners, leading to the emergence of collections solely dedicated to Sijochang(時調唱), such as NamHoonTaePyeongGa(南薰太平歌). This marked a departure from the supplementary format found in the Song-book.
Despite the opening of the era of Sijochang(時調唱), research on Sijochang(時調唱) Song-book has been relatively scarce compared to Gagokchang(歌曲唱) Song-book. This is due to the lack of compilers for Sijochang(時調唱) Song-book, as well as limited information available, such as colophons. Additionally, Sijochang(時調唱) Song-book exhibit diverse forms, with some containing only prefaces, others categorizing compositions and prefaces, and some even incorporating theories related to Sijochang(時調唱). This diversity stems from the collections directly reflecting the scenes of their production.
This article explores regional culture through the variability of prefaces in the Sijochang(時調唱) Song-book titled Muin also encapsulates the compiler's various interests and preferences. While Gagokchang(歌曲唱) Song-book were marked by a fixed system with specialized prefaces, Sijochang(時調唱) had a populist trend, accessible to anyone with basic musical skills.
Muin comprises verses 1 to 16, describing scenes where five to six elderly residents of SanEun village sang on the mountains in late spring. These individuals appear to have composed both Sijochang(時調唱) and Chinese poetry, suggesting their status as middle-class individuals based on the use of Chinese poetry.
There has been a vague assumption that NamTae played a role in compiling Sijochang(時調唱) Song-book. However, recent research has revealed Sijochang(時調唱) Song-book from entirely different lineages than NamTae many of which depict the actual scenes of production. Small Song-book like Muin hold particular significance, as they provide glimpses of the actual production scenes, differentiating them from larger Song-book that contain numerous works.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author's knowledge, many aspects remain unresolved. These areas will be addressed through ongoing research on Sijochang(時調唱) Song-book.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