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치유여행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산림휴양을 중심으로 = Healing Tourism and Quality of Life: Focused on Forest Recreation
저자
이동기 (원광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5-110(16쪽)
제공처
본 논문은 치유여행이 삶의 질에 대한 영향을 산림청의 산림휴양·복지활동조사 2022년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산림휴양·복지활동은 일상형, 당일형, 숙박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일상형에 비해 당일형이, 당일형에 비해 숙박형이 삶의 질을 보다 크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산림휴양·복지활동 자체에 대한 만족도는 유형별로 상이하며, 일상형은 학력수준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보이는 반면에 당일형은 연령대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보인다. 숙박형은 성, 연령대, 학력수준, 가구원수, 거주지역의 규모 등 다수의 속성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보여 사람들의 속성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현대인에게 있어 우울증은 주요한 정신질환에 해당하며,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치유여행이 해당 개인의 삶의 만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는 본 연구의 결과는 치유여행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의 도입이 필요함을 함축한다.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healing tourism on the quality of life using the Survey on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Activities in 2022 by the Korea Forest Service.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activiti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at is, activities in forest for less than four hours, at least four hours, and multiple days.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minimum four-hour activities in forest tend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by greater extent than activities in forest under four hours and that activities in forest for multiple days have a larger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than minimum four-hour activities in forest. In addition, the degree to which people are satisfied by the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activities differs by types. Whereas activities in forest for less than four hours cause different satisfaction across the groups by education levels, minimum four-hour activities in forest affect the satisfaction differently across age-cohorts. Activities in forest for multiple days show different effects on satisfaction across groups by gender, age-cohorts, education level,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nd size of living areas. It implies that there are big gaps in the satisfaction of activities in forest for multiple days by people’s characteristics.
These days, the depressive disorder belongs to one of the main mental diseases and its social costs are steadily increasing.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paper that healing tourism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imply that an introduction of a policy that boosts people’s tours for healing is required.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